로딩중
전체메뉴
사례
그룹의 총수가 계열사에 대해 경영책임자로 판단되는지
모기업에서 각 계열회사가 필요로 하는 안전보건 기준을 정하고 지켜지도록 하고, 점검지원을 하는 경우, 모기업의 그룹 총수가 계열회사에서 중대재해 발생 시 계열회사의 실질적인 경영책임자로 간주 되는지
2025-07-18
답변
질의에 관한 회신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경영책임자는 사업을 대표하고 사업을 총괄하는 권한과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법 제2조제9), 사업 운영에 있어 대내적으로 사무를 총괄하여 집행하고 대외적으로 해당 사업을 대표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 경영책임자등은 사업을 대표하고 사업을 총괄하는 권한과 책임이 있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통상적으로 기업의 경우에는 상법상 주식회사의 경우 그 대표이사, 중앙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장이 이에 해당합니다.

ㅇ 원칙적으로 모기업의 경영책임자등이 계열회사의 종사자에 대하여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을 부담하지 않을 것이나 예외적으로, 기업의 그룹 총수가 사업을 대표하고 총괄하는 권한과 책임이 있는 사람에 해당하는 경우 실질적인 경영책임자로 특정될 여지도 있습니다.

- 다만, 사안의 경우와 같이 모기업이 계열회사 업무를 일부 지원했다는 사실만으로 곧바로 모기업이 계열사를 실질적으로 지배운영관리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 됩니다.
 

2025-07-21
만족도 평가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신문고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