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3월 17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2024년 SNS 기만광고(뒷광고) 모니터링 결과
이 생각은 "2024년 SNS 기만광고(뒷광고) 모니터링 결과"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24년 SNS 기만광고(뒷광고)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였다.
0/1000
2024년 SNS 기만광고(뒷광고) 모니터링 결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 작년 한 해 동안 주요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의 후기 형태 게시물 중 기만광고(뒷광고*)로 의심되는 행위를 점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추천·보증인이 광고주 등으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았음에도 그 사실을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고 광고하는 행위
 
표시광고법뒷광고와 같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추천보증심사지침에서는 추천·보증인과 광고주 사이의 경제적 이해관계명확하게 표시하도록 그 위치·내용·방식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공정위는 ’21년부터 매년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등의 SNS 후기 게시물점검하고 뒷광고로 의심되는 게시물에 대해서는 자진시정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24년도에도 ()한국인터넷광고재단에 위탁하여 점검을 실시하였으며, 22,011건의 뒷광고 의심 게시물을 발견하여, 게시물 작성자 및 광고주에게 자진시정 하도록 한 결과, 26,033건의 게시물시정되었다.
 

< 2024년도 SNS 뒷광고 점검 및 자진시정 결과 >
구분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기타* 합계
점검 실적
(위반 의심 게시물 수)
10,195 9,423 1,409 984 22,011
자진시정 실적** (시정 게시물 수) 11,256 7,335 1,416 6,026 26,033
* 네이버 카페·포스트, 틱톡 등
** 인플루언서·광고주가 추가 시정한 게시물 수가 포함되어 자진시정 실적이 점검 실적보다 많음

뒷광고로 의심되는 게시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이해관계를 전혀 표시하지 않는 경우(26.5%), 부적절한 위치에 표시하는 경우*(39.4%), 부적절한 표현방식으로 표시한 경우**(17.3%) 등이 많았다. 또한, 분야별로 보면 상품 분야에서는 보건·위생용품’, ‘의류·섬유·신변용품’, ‘식료품 및 기호품등이 대부분이었고, 서비스 분야의 경우 외식업종이 많았다.
 
*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는 더보기란, 설명란, 댓글 등에 표시하는 경우가 많았음
 
** 작은 문자나 흐릿한 이미지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았음
 
전체 뒷광고 의심 게시물 중에서 숏폼 콘텐츠*의 비중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주요 광고수단으로 떠오른 숏폼 콘텐츠에 대한 점검을 강화한 데 따른 결과로서 영상 제작자와 광고주가 아직 경제적 이해관계의 공개 의무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 평균 1분 미만의 짧은 영상 콘텐츠(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틱톡 등)
 
공정위는 올해도 정확한 소비자 정보 제공 합리적 구매 선택권 보장위해 뒷광고에 대한 점검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게시물 작성자, 광고주 등의 법 준수 및 제도 이행을 돕기 위해 추천보증심사지침의 최근 개정 내용*을 반영하여 경제적 이해관계표시 안내서새로 제작하여 하반기에 배포할 예정이다.
 
* 경제적 이해관계를 게시물의 제목 또는 첫 부분에 명확하게 표시해야 함(‘24.12.1 시행)
 
아울러, 한국광고주협회, 한국인플루언서산업협회 등 관련 업계와 간담회 개최 등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뒷광고의 근절자율적인 법 준수 문화 확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총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