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생각모음

생각모음

발전 대화
메타버스 숲교육·체험교육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안녕하세요! 산림교육원에서는 메타버스 숲교육‧체험 개발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다양한 생각을 듣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o 설문조사 - 조사내용: 메타버스 숲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민 요구 - 조사목적: 산림교육원의 ‘메타버스 숲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 조사방법: 국민생각함 설문(생각의 탄생) - 조사일정: ’24.6.14~6.18 - 설문참여: 443명   o 조사결과 설문결과 연령대는 30~40대가 27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많은 인원이 메타버스 숲교육‧체험이 필요하다고 응답(328명)하였습니다. 메타버스 숲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조기교육’, ‘AI시대 도래’, ‘숲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 많은 의견이 있었습니다. 또한 숲에 관해 알고 싶거나 원하는 교육은 ‘숲에서 할 수 있는 체험활동’, ‘산림 관련 직업정보’, ‘숲의 가치와 필요성’ 등을 교육에 반영을 원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그 밖에도 ‘메타버스 안에서 다양한 체험 및 게임 콘텐츠 추가’, ‘메타버스 숲 교육 홍보 강화’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의견들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숲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24.10.7~11.6) 중에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접속방법 : 산림교육원 홈페이지 접속 → ‘모두가 누리는 e숲 교육‧체험’ 배너 클릭   2024.10.29 ~ 2024.11.06
2명 참여 추천 수2 비추천 수0
탄생 대화
2030 NDC 달성을 위한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REDD+) 전문가 양성을 위한 방법은 어떤게 좋을까요? 우리나라는  2030  NDC 달성을 위해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에 상당하는 양인 291백만 이산화탄소톤의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감축해야합니다.  우리나라는 이 중 임업, 산업 등 분야의 국제감축사업을 통해서 37.5백만 이산화탄소톤을 충당하고자 합니다. 산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원이지만, 대기중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배출원이기도 합니다. IPCC 제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볼 때 산림을 포함한 토지이용분야에서 배출량은 약 130억 이산화탄소톤으로, 총 배출의 약 21%이며 에너지, 산업 분야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산림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국제사회는 개발도상국의 산림보호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인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REDD+)'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커지고 있습니다. 산림청도 개발도상국의 REDD+ 활동 지원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협력국과 협의하여 감축된 온실가스를 국가 간 이전(ITMOs)하여 NDC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국제감축목표인 37.5백만 이산화탄소톤 중 5백만톤 감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한편, REDD+는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등 비탄소편익이 큰 활동이기도 합니다. 탄소 및 비탄소편익을 주는 REDD+ 이행을 위해 국가뿐만 아니라 민간의 참여도 매우 중요합니다. 한정된 정부예산과 인력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REDD+ 활동 이행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EDD+ 진흥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합니다. 또한 지난 2월 17일 시행된 '개발도상국 산림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탄소 축적 증진 지원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따라 산림청은 REDD+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REDD+ 전문인력은 어떻게 양성하는게 가장 적합할까요? 또한 이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정책마련을 위한 국민여러분의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을 부탁드립니다. 국민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4.10.28 ~ 2024.11.11
5명 참여 추천 수2 비추천 수0
제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