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3년 10월 11일 시작되어 총29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어구 생산부터 수거까지 전주기 관리 ‘어구 실명제·보증금제’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해양수산부님의 의견정리2023.12.04
어구 생산부터 수거까지 전주기 관리 '어구 실명제·보증금제'에 대한 내용은 14명이 참여한 가운데 해당내용이 유익했다에 12명, 해당내용이 유익하지 않다에 2명이 투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어구실명제와 어구보증금제에 대한 많은 관심가져주시기 바랍니다.
어구 생산부터 수거까지 전주기 관리 어구 실명제·보증금제

해양수산부는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 등 수산자원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해 어구의 생산부터 판매
, 사용, 수거 등 전 주기별 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ㅁ 어구 생산-판매-사용-수거 전 주기 관리강화
어구생산업·판매업을 신설해 제도권으로 관리하여 어구 생산업자 및 어구 판매업자는 3년 동안 생산·판매한 기록 등을 작성해 보존해야 합니다.
 
어구 생산업 및 판매업제도는 신고제로 운용되며, 관리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를 해야함은 물론, 체계적인 어구관리 정책 추진을 위해 어구의 판매, 유통 현황 등을 파악하는 어구 실태조사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해양오염방지와 수산자원관리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어구의 판매량과 판매장소 등을 제한할 수 있는 근거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어구마다 소유자 등을 표시하는 어구실명제를 법제화하고, 전자어구실명제 등의 도읍에 대비해 표시방법 등을 정할 수 있도록 하며 수중에서 자연분해되는 생분해성어구의 사용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어구의 재질을 별도로 제한 할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폐어구의 효과적인 수거·폐기를 위해 금어기 등을 활용해 일정기간 특정해역의 조업을 중단하고 부설된 어구를 일제회수한 뒤 해당 해역을 집중정화하는 어구일제회수제도 도입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어구·부표 보증금제를 도입하며 이는 육상의 빈용기보증금제와 같이 어구 등을 판매할 때 보증금을 포함해서 판매하고, 사용했던 어구를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이와 같은 폐어구와 같은 해양쓰레기로 인한 해양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인 어구실명제와 어구보증금제에 대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자료참고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해양수산부 어구 생산부터 수거까지 모든 주기 관리 어구실명제·보증금제 도입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14│ 실시기간 : 2023-11-27~2023-12-02
해당내용이 유익했다. 12명(85.71%)
해당내용이 유익하지 않았다. 2명(14.28%)
  • 참여기간 : 2023-11-27~2023-12-02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해양수산·어촌
  • 관련지역 : 전라남도>목포시
  • 그 : #어구실명제 #어구보증금제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