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중이용시설 급성 심정지환자 발생대비, 자동심장충격기(AED) 보관함에 ‘응급처치 환자보호막’ 비치로 골든타임 확보
□ 제안개요
지하철, 공항, 고속터미널, 대형 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에 국민의 안전을 위해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운영하고 있으나 공공장소에서 급성(여성) 심정지환자 발생시 일반 시민들은 성추행 등의 이유로 심폐소생술(CPR)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을 부담스러워 하는 실정으로 골든타임(4분)내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고, 심정지환자와 주변 시민들을 분리하여 신속한 응급처치 할 수 있도록 ‘AED 응급처치 환자보호막’ 제작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비치하고 언론 등 대국민 홍보활동과 캠페인을 전개하면, 일반 국민들에게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응급처치 중요성을 홍보할 수 있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실시률 증가와 심정지환자 생존률 향상으로 국민안전 확보에 기여
□ 제안배경
지하철, 백화점,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심정지환자가 발생하여 자동심장충격기(AED)로 응급처치시, 음성안내에 따라 환자의 상체에 패드를 부착하는데 하나는 환자의 오른쪽 쇄골 아래, 또 하나는 왼쪽 가슴 아래에 있는 겨드랑이선에 부착하고 있어 여성 환자는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상체와 가슴이 노출되어 성추행 등의 이유로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을 부담스러워 경우가 많으며
미국 펜신베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갑자기 응급환자가 발생한 가상의 상황을 만들고 남성 마네킹과 여성 마네킹에 대한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는 비율을 측정한 결과, 사람들은 여성 환자(마네킹)에 응급처리하는 경우가 더 적었고
미국 콜로라도대학 연구진 설문조사에서도 "여성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여성의 가슴이 심폐소생술(CPR)을 더 어렵게 한다는 오해, 성추행 의혹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여성환자의 몸에 손을 대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생각" 등 이유로 여성에게 CPR 주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며
실제로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구조자가 남성인 경우 젊은 여성 심정지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대해 의지가 낮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공공장소에서 많은 시민으로 부터 급성(여성) 심정지환자를 보호하고 주변에 있는 의사, 간호사, 소방관 등 심폐소생술(CPR) 응급조치 전문가에게 상황을 전파할 대책마련 필요

【전문기관 자문 등 아이디어 숙성활동 추진사항】
1. 의료 전문기관 등 자문과 국민생각함 토론방에서 아이디어 숙성활동으로 보완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응급조치 환자보호막(환자가림막)” 시제품을 제작하고, 환자보호막 주머니는 슬라이드 비닐 지퍼백으로 구입하여 직접 제작하였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보관하기 적당한 크기(A4사이즈 230×336mm) 입니다.








2. 제안자는 심폐소생술 교육은 정기적으로 받고 있으나, 국민생각함 토론방에서 제안자가 심폐소생술의 중요성과 자동심장충격기(AED) 국민행동요령을 잘 알지 못하고 제안을 추진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9월 10일 “서울 노원구 심폐소생술 교육장”에서 1시 30분 교육을 이수하고 이수증을 받았습니다. 교육에 참여한 교육생들과 전문 강사님의 많은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습니다. 남은 기간동안 많은 의견 청취하고 아이디어 숙성활동으로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 참고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장"은 매일 오전, 오후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니, 많은 교육 참가 부탁드립니다.




3. 9월 11일 “자동심장충격기(AED) 응급조치 환자가림막(환자보호막)” 시제품을 지하철역 대합실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에 직접 넣어 보고, 자동심장충격기와 응급조치 환자가림막(환자보호막)을 심정지환자에게 이동하는 시연을 하였습니다. 협조해주신 역장님 감사합니다. 사진촬영도 직접해주시고 자문도 해주시고, 아이디어 숙성활동으로 시행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4. 골든타임 팀원들과 지하철 승강장에서 급성(여성) 심정지환자 발생을 가상하여, 심폐소생술 국민행동요령에 따라 환자의 반응 확인, 119신고 요청하고, 자동심장충격기(응급처치 환자보호막) 가져오도록 부탁, 호흡확인 가슴압박 심폐소생술 실시, 자동심장충격기 켜기, 두개의 패드 부착, 심장리듬 분석, 심장충격 실시, 응급처치 환자보호막 설치 시연을 해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