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4월 17일 시작되어 총3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경제구조통계(경제총조사)에서 중요한 가치는 무엇일까?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통계청님의 의견정리2018.06.20

통계결과를 이용하는 수요자에게 집중하되

응답자의 응답부담을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5년 마다 실시하는 경제 총조사는 일정한 물리적 장소에서 종사자와 설비를 갖추고 단일 또는 주된 산업활동을 하는 단위를 조사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최근 비밀보호의식 강화와 통계 현장조사에 대한 응답부담으로 사업체의 통계조사 기피경향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사업체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21년 경제총조사는 8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행정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제총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대안이 제시되었지만, 여러가지 고려사항들이 갈등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가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18│ 실시기간 : 2018-05-29~2018-06-05
커버리지 : 현장조사로 포괄하기 어려운 새로운 유형의 사업체를 포괄할수 있어야 함 2명(11.11%)
정확성 : 법/행정적으로 공신력 있는 기관에 제출한 신뢰도 높은 행정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 9명(50%)
통계이용자 수용가능성 : 경제총조사 결과의 주요 통계이용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변화여야 함 7명(38.88%)
  • 참여기간 : 2018-05-29~2018-06-05
  • 관련주제 : 경제·산업·통상>경제정책
  • 관련지역 : 대전광역시>서구
  • 그 : #통계 #경제총조사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