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12월 07일 시작되어 총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송어,메기,민물장어 등 내수면 수산물 활성화 방안으로는?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해양수산부님의 의견정리2017.12.29

1차 설문인 내수면 품종 중 어떤 품종을 드시고 싶으신가요?. 또 어떤 형태로 드시고 싶으신가요?. 에 대한 정리입니다.


내수면 수산물 중 가장 많이 드셔 본 품종은

 1 뱀장어(43%), 다슬기(29%), 송어(21%), 메기(7%) 순이며



이들 품종은

주로 매운탕(43%)이나 회(29%)로 이용하셨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이용하시고자 하는 품종은

뱀장어(33%), 송어(30%), 다슬기(11%), 향어(7%), 메기(4%) 순이었습니다.



의견으로는 식품 안전성, 합리적인 가격, 다양한 형태의 요리개발, 건강식 등의 다양한 홍보 등이 이루어져야한다고 하셨습니다.


2차로 내수면 수산물 활성화에 필요한 것은 어떤 것인가에 대한 투표 결과는 내수면 품종의 이용 활성화시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해 주셨습니다.


내수면 수산물은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각광받아 왔습니다.

 

내수면에는 송어, 향어, 메기, 민물장어, 가물치, 잉어, 붕어, 동자개, 다슬기, 자라 등 많은 어종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들 어종은 생선회, 생선매운탕, 생선찜 같은 민물 수산물 요리를 비롯해 생선커틀렛, 탕수육, 강정, 롤 등의 10여 점의 요리가 개발되기도 하였습니다.

 

참고로, 내수면 어업은 크게 양식어업과 어로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15년 기준 양식어업 중 가장 많이 생산되는 품종은 뱀장어로 전체 양식 생산량 23,922톤 중 9,009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금액으로도 전체 3,412억 중 가장 많은 2,427억원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어로어업 중에서는 재첩, 다슬기 등의 패류가 가장 많으며, 어류로는 붕어가 1,906톤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고 있습니다(어로어업 전체 생산량은 9,133톤). 생산량으로 가늠한다면 뱀장어, 메기, 송어, 향어, 다슬기, 잉어 순으로 소비가 많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내수면의 양식품종 개발과 생산성 향상 등의 연구를 위한 대상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2│ 실시기간 : 2017-12-15~2017-12-22
내수면 품종의 이용 활성화시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가격이다. 2명(100%)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