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무농약 가공식품 인증기준(안)에 대한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보내주신 의견과 생산자와 소비자 및 산업계 의견을 반영하여 친환경농산업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안전한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11년 : 1,316개 제품 -> '16년: 5,814개 제품)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기가공식품, 유기식품, 무농약농산물 등을 활용한 무농약가공식품 인증제를 도입하여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무농약가공식품 인증제 도입을 위한 공청회, 간담회, 설문조사 결과 신규 인증제 도입에 대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찬성하고 있으나, 무농약 이상 원료사용에 대한 세부 인증기준안에 대해서는 이해 관계자별로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친환경농식품 산업을 활성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무농약가공식품의 합리적인 인증기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1안) 유기가공식품인증과 동일, (2안) 70%이상 인증, (3안) 70%이상 제한적 표기 허용
<1안>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과 동일
<2안>미국 NOP인증 기준 준용
<3안>제한적 표시기준 완화
... 화학적 방제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 실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친환경 해충 방제 정보 웹사이트 제작’과 ‘시민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콘텐츠 기획’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공공 정책을 제안드립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 : 임산부 1인당 연 48만원 상당(보조 80%, 자부담 20%)6. 지원품목 : 유기농수산물, 무농약농산물, 유기가공품, 무농약원료 가공식품7. 지원기간 : 대상자 확정 후 2024. 12. 6.까지8. 신청방법 : www. Happybus.or.kr 로 ...
... 출입 및 검사하는 제도○ 수입식품 식품안전관리인증 : 해외제조업소의 원료관리 및 제조‧가공 등의 모든 과정에서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 주문자상표부착 현지 위생평가 : OEM 수입식품등을 제조‧가공하는 해외제조업소(해외작업장)에 대해 해외식품 위생평가기관을 통해 현지 위생평가를 실시하는 제도※ 문의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현지실사과(043-719-6203 ...
몇일전 대통령과 장관 그리고 농업인들과의 토론을 봤습니다.농막시설에 화장실 문제를 언급하였습니다,저는 농막에 화장실 허용에 대하여 깊게 생각을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푸세식 화장실(이동식 간이 화장실 ... 삶을 사시는 분들에게 권장해 드리고 싶습니다,봄, 여름,가을에 볼일본것 , 모와놨다 가을 퇴비에 부어서 거름만들어 친환경 비료로 ...
...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발생한 장소와 보이는 상황에 따라 사람이 얼마든지 착오를 할 수 있습니다. 워낙 친환경 주차구역이 많고 경고사인도 없으며, 많은 가솔린 차량이 그곳에 주차가 되어있다면 착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두번째로, 일반인이 촬영해서 고발을 했더라도 공공기관에서 직접 현장에 출두해서 현장 사진을 찍고 과태료를 발송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 있습니다.K-Forest Food는 산림청이 개발하고 한국임업진흥원이 운영하고 있는국가통합브랜드로서 산에서 무농약으로 재배되는 임산물이 일정조건에 부합하면동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브랜드 입니다.2022년 현재는 밤, 호두, 대추, 떫은감 등 20개에 임산물에 한하여 브랜드를 부여하고 있으나향후 모든 임산물에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서 추진 중인 '승강기 폐배터리 자원순환 사업'의 이름을 찾습니다.추첨을 통해 소정의 기프티콘을 지급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스마트팜 보급을 통한 건강한 식생활 확산 및 식량안보 기반 마련 대책►현황 및 문제점○ 가공식품 위주의 식습관 확산○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증가로 간편식배달음식 의존도 상승, 신선 채소 섭취 부족 농산물 가격 불안정 및 공급 문제○ 기후위기, 국제 정세 등으로 인해 신선 농산물의 수급 불안정 우려 도시민과 농업 간 단절 심화○ 농업과 일상생활이 분리되면서 ...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기농산물, 유기임산물을 생산하는자와 무농약농산물을 생산하는 자는 유기농산물에 생산에 필요한 인증기준을 준수하여 유기식품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