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14일 시작되어 총12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소포장 쌀 유통 활성화 방안 우선순위 투표
이 생각은 "소포장 쌀 유통 활성화 방안 우선순위 투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17.09.28

□ ‘소포장 쌀 유통 활성화’를 위해 1차 제안 내용에 대해서 정책 우선순위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아래 순서로 정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1. 중량단위보다는 소비트랜드에 맞게 한끼, 하루, 일주일 분량 등으로 다양한 소포장 상품 개발(35명, 34%)
   2. 소포장 쌀 브랜드 개발 지원(23명, 22%)
   3. 포장재 및 용기 다양화를 통한 소비자 선택 폭 확대(17명, 16%)
   4. 소포장 곡물 판매처(로컬푸드매장, 편의점 등) 다양화(12명, 12%)
   5. 즉석 도정, 포장, 판매방식 도입(7명, 7%)
   6. 소포장 쌀 소비 확대 및 인지도 재고를 위한 홍보 대책 마련(5명, 5%)
   7. 소포장 생산 가공업체 대 포장 및 디자인 개발 비용 지원(5명, 5%)

□ 1차로 정책 제안에 참여하여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소포장 쌀 유통 활성화의 필요성에 공감하시며 다양한 의견을 제안해주셨습니다.

□ 제안해주신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소포장 쌀 브랜드 개발 지원
  2. 소포장 생산 가공업체에 포장 및 디자인 개발 비용 지원
  3. 포장재 및 용기 다양화를 통한 소비자 선택 폭 확대
  4. 즉석 도정, 포장, 판매 방식 도입
  5. 소포장 소비 확대 및 인지도 재고를 위한 홍보 대책 마련
  6. 중량단위보다는 소비트랜드에 맞게 한끼, 하루, 일주일 분량 등으로 다양한 소포장 상품 개발
  7. 소포장 곡물 판매처(로컬푸드매장, 편의점 등) 다양화

□ 위 제안 내용들을 정책으로 반영이 가능한지 여부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겠지만, 정책화를 위한 우선순위를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투표를 통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외에도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104│ 실시기간 : 2017-09-07~2017-09-19
소포장 쌀 브랜드 개발 지원 23명(22.11%)
소포장 생산 가공업체에 포장 및 디자인 개발 비용 지원 5명(4.8%)
포장재 및 용기 다양화를 통한 소비자 선택 폭 확대 17명(16.34%)
즉석 도정, 포장, 판매 방식 도입 7명(6.73%)
소포장 소비 확대 및 인지도 재고를 위한 홍보 대책 마련 5명(4.8%)
중량단위보다는 소비트랜드에 맞게 한끼, 하루, 일주일 분량 등으로 다양한 소포장 상품 개발 35명(33.65%)
소포장 곡물 판매처(로컬푸드매장, 편의점 등) 다양화 12명(11.53%)
  • 참여기간 : 2017-09-07~2017-09-19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농업·농촌
  • 그 : #소포장 #쌀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