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17.09.12
1. 경쟁력 있는 교육기관을 통한 교육과 기술을 축적하는 방안 모색
2. 한식당 대상 위생, 환경 서비스 강화 등 교육 추진
시대 흐름에 맞추어 한식의 명확한 전통과 퓨전의 구분
4. 한식대중화를 위한 맛의 균질화
여행사의 동향 파악
한식 고유 음식과 별개로, 외국인 입맛에 맞는 음식 연구 필요 및 외국인이 쉽게 한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주문 자동화 필요, 식당 이용 불편사항 접수를 통해 개선 필요
7. 한식메뉴 표기법 레시피 공식화 및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8. 할랄 한식 개발
여러분들의 투표를 통해 상기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며, 상기 의견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양한 의견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출처 : www.hansik.org/glori
< 추진 목적 >
□ ’09년부터 추진한 한식세계화 사업을 통해 한식의 인지도 제고에는 성과가 있었으나, 국내외 한식당 경쟁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 해외 인기 한국문화콘텐츠 순위(’17) : 한식(47%), 패션·뷰티(41%), k-pop(33%)
[출처 :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 해외 한식당 수(’16) : 31,511개 [출처 : 한식재단]
☞ 국내 한식당 수(’15) : 304,005개 [출처 : 통계청]
★ 국내외 한식당의 맛·품질·위생·서비스·시설 등 개선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 국내외 한식당 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진 계획(안) >
□ (해외) 외국인의 한식 접점인 한식당 경쟁력 강화
○ 해외 우수 한식당 인증을 통해 성공모델 발굴·확산
○ 해외진출 외식기업 및 해외 한식당에 대한 경영개선, 메뉴개발 등 컨설팅 지원 확대
○ 해외 한식당 종사자 교육, 해외호텔 셰프 한식 교육, 해외 학교 내 한식강좌 개설 등
□ (국내) 국내 한식당 서비스 개선을 위해 교육 강화 및 제도 정비
○ 외국인이 주로 찾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법 보급
○ 조리법 체계화 및 외국인 기호에 맞는 다양한 한식메뉴를 한식당에 보급
<1차 투표 결과>
1. 경쟁력 있는 교육기관을 통한 교육과 기술을 축적하는 방안 모색(1위)
2. 한식당 대상 위생, 환경 서비스 강화 등 교육 추진(2위)
3. 할랄 한식 개발(2위)
4. 외국인들이 많이 찾고 즐겨먹는 주요 메뉴의 맛 균질화(2위)
5. 한식의 외국어 표기법 표준화(5위)
6. 전통/퓨전을 구분하여 조리법, 식기, 식당 분위기 표준화(5위)
7. SNS를 통한 바이럴 마케팅 활용, 컵밥 등 한식 간편식 개발(5위)
8. 한국음식의 전통화(8위)
(추가적인 의견)
1. 한식 대중화를 위해서는 맛의 균일화 필요
2. 시대흐름에 맞추어 전통과 퓨전의 구분이 명확한 한식을 선보여야 함
3. 한식메뉴 표기법 레시피 공식화 및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4. 여행사의 동향 파악 중요(여행사 및 공항 등 외국인이 자주 접하는 식당에 대한 이미지, 서비스, 맛 등 관리 및 식당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 필요
5. 한식 고유 음식과 별개로, 외국인 입맛에 맞는 음식 연구 필요 및 외국인이 쉽게 한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 주문 자동화 필요, 식당 이용 불편사항 접수를 통해 개선 필요
<2차 투표 실시>
1차 투표 결과 1-2위 항목과 새로운 의견을 추가하여, 투표를 실시합니다.
참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