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4월 11일 시작되어 총3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우리 주변에 있는 헌옷 수거함을 이런 식으로 해결해보면 어떨까요?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꽃대생각함님의 의견정리2017.06.12

우선 많은 분들께서 댓글로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헌옷수거함을 활용하는데 있어 많은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저희가 발제한 방안은 총 3가지였고, 2017.4. 29.부터 5. 12.까지 총 3주간의 투표를 통해 어떤 방법이 좋은 지 알아봤습니다.


























































그 결과,































1. 옷캔과 같은 민간단체를 통한 협업 11명(44%)































2. 헌옷 방문 서비스 활성화 3명(12%)































3. 캠페인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 및 관리 11명(44%) 

으로 집계가 됐습니다. 















헌옷 방문 서비스보다는 옷캔과 같은 민간단체와의 협업을 통한 헌옷 재활용 그리고 캠페인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와 관리가 중요하다는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급속도로 발전해가고 있는 현 시대에 지자체에서 모든 것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서로 협력하여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번 투표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댓글에 좋은 의견이 많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 옷을 버릴 때 쓰레기 봉투처럼 봉투에 버리는 사람의 인적사항을 적게 하여 옷의 수량이나 무게만큼 별도 산정된 점수를 주어 일정 포인트가 넘으면 상품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적사항보다는 일련번호와 바코드를 만드는 방법도 괜찮을 듯)






















































- 아나바다 가게를 만들어 재활용으로 입고한 것은 걸레로, 더한 것은 공장에서 활용하는 방법































































 - 주민센터 건물 일부를 의류, 인형 등 소품 입출고 장소로 활용하여 소외 계층 무료 제공 등


























































앞으로도 헌옷수거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리며,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양한 의견을 통해 3가지로 해결방안을 마련해봤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첫 번째는 옷캔과 같은 민간단체와의 협업입니다.

옷캔은 2009년 설립된 외교부 소관 NGO 단체입니다. 한글 옷과 영어 CAN의 합성어로 '옷으로도 좋을 일을 할 수 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버려지던 자원인 옷을 재활용함과 동시에 나눔사업, 교육사업, 위생사업을 통하여 제3계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물하고 있습니다.

(출처 : 옷캔 홈페이지)


옷캔과 같은 단체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사업자가 불분명한 헌옷수거함의 옷들을 재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는 헌옷 방문 서비스 활성화로 헌옷을 어떻게 처리해야할 지 모르시는 시민 분들을 위해 주민센터에 문의할 시 공익근무요원분들 혹은 공공근로사업으로 모집된 분들을 통한 직접 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헌옷 캠페인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 및 헌옷 수거함 관리입니다. 헌옷 수거함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합니다.
플랜카드,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한 오프라인 홍보와 지자체 홍보 어플, SNS를 통한 온라인 홍보를 통해서 주민들이 조금이나마 헌옷 수거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드리고 월별 혹은 분기별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단속을 통해 관리를 하여 환경 미화 뿐만 아니라 헌옷이 보다 실용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3가지 방안에 대한 수정, 보완점 혹은 다른 방안이 있으시다면 자유롭게 댓글로 의견을 표시해주세요.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25│ 실시기간 : 2017-04-29~2017-05-12
옷캔과 같은 민간단체를 통한 협업 11명(44%)
헌옷 방문 서비스 활성화 3명(12%)
캠페인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 및 관리 11명(44%)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