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환경부님의 의견정리2016.10.17
길거리 담배꽁초 무단투기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분들이 의견을 주시고
담배꽁초 쓰레기통 설치에 대해 총 105분이 투표에 참여해주셨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투표결과 벽부착형을 가장 많은 44명(42%)이 선택해 주셨으며
박스형 27명(26%), 원통형 19명(18%), 항아리형 15명(14%)이 선택해 주셨습니다.
환경부는 담배꽁초 무단 투기 방지를 위해 서울시, 종로구와 협업하여
대학로 대명길및 새문안로2길 일부 구역에 담배꽁초 전용 쓰레기통을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길거리에 담배꽁초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 길거리 쓰레기통이 적어서 담배꽁초를 길바닥에 그냥 버리는 것 같다는 의견이 33.2%로 매우 높게 나왔습니다.
흡연구역을 지정해주고, 금역구역 흡연 및 길거리 투기에 대해서는 단속을 더욱 강화하자는 의견도 많은 분들이 제시해 주셨습니다.
금연구역 설정 문제는 나중에 다시 의견을 나누기로 하고,
여기서는 길거리 담배꽁초 투기를 줄이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으면 합니다.
그렇다면 담배꽁초만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을 거리에 설치하면 길거리 담배꽁초가 많이 사라질까요?
실제로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외국의 사례도 있지만
담배꽁초 쓰레기통을 거리에 설치한다면 어느 것이 좋을 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흡연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라
①비흡연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보행중 흡연이 조금이라도 줄었으면 좋겠고,
②초등학생이 봉사활동으로 길거리 청소를 하면 절반이상이 담배꽁초라고 하는데 길거리 담배꽁초를 조금이라도 줄이자는 취지에서 의견을 주셨으면 합니다.)
<그림설명>
그림1. 항아리형 - 개인이 많이 설치하는 형태로 건물 앞 흡연구역에 많음
그림2. 박스형 - 기차역 등 흡연구역에 있는 쓰레기통의 일반적인 형태
그림3. 벽 부착형 - 울산시에서 담배꽁초만 버릴 수 있도록 기둥에 실제로 설치한 사례
그림4. 원통형 - 일본 흡연구역 및 편의점 앞 등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