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2월 27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체감 정책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알림
<전주기상지청 국민체감 정책 추진을 위한 국민의견 수렴 결과 정리>

[성과지표]
 
○ 전주기상지청의 관리과제명을 ‘도민의 방재 및 기후재난 대응 지원을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46.4%)로 가장 많은 득표
- 단순 ‘안전’ 문구보다 재해를 막는다는 선제적 단어인 ‘방재’ 단어 선호
- 기후위기가 점차 심각해지면서 ‘기후재난’에 대한 국민들의 체감 위기의식 높아짐
 
응답자의 52.4%가 호우특보 선행시간의 국민 체감 목표로 ‘5년 평균의 130% 이상, 111분 이상’이 적합하다고 응답
 
○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의 국민체감도 증진을 위해서 강화 해야할 항목으로는 ②기술지원(42.9%), ③활용실적(35.2%), ①협력실적(14.2%), ④대외홍보(7.7%) 으로 나타남
 
응답자의 대부분(92.5%)은 전주기상지청에서 운영 중인 성과지표(①호우특보 선행시간, ②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가 ‘25년 주요업무를 점검하는데 적합하다고 응답함
 
[’24년 주요정책과제 개선보완사항] 
○ 국립전북기상과학관의 지속가능한 방문이용객 유치를 위해 새로운 대표 프로그램 발굴 해야한다는 응답(39.5%)이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강화 해야한다는 응답(38.6%)이 뒤를 이었다.
 

지역 특화서비스 제공 시 지역민에게 도움이 되는 분야로는 폭염(48.2%), 보건(42.7%), 해양(8.8%) 으로 나타남

국민 여러분의 의견은 검토하여 전북도민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smiley


<이벤트 당첨자 발표>
1. 허*영 9564
2. 조*민 2475
3. 문*철 0225
4. 정*주 3092
5. 박*화 2756
6. 김*화 9742
7. 김*식 3393
8. 김*민 1930
9. 조*성 2785
10. 양*인 3279
11. 이*기 9870
12. 이*훈 5004
13. 박*종 5979
14. 박*헌 9246
15. 장*진 9054
16. 이*욱 0063
17. 고*욱 1918
18. 오*석 8122
19. 서*현 9412
20. 위*현 5636

모바일상품권은 3.27.(목) 오후 15시 발송되었습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1000
[전주기상지청] 국민체감 정책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하여 성과지표작년 주요정책과제
선보완 사항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 전주기상지청 주요 업무
기상재해 대응 기반 강화 및 국지예보연구 활성화로 도민안전 지원
수요자별 현장중심형 맞춤형 정보제공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
지역현안 문제 해결 및 지역특화 서비스 운영으로 도민 편익 증진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및 협력 확대 기후위기 적응 대책 지원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운 활성화 및 계층별 기후 참여 프로그램으로 기후변화 이해 확산

전주기상지청 성과지표

성과지표 : 호우특보 선행시간(방재관련기관 및 주민 대응 시간)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여 방재 관련기관과 주민의 대응시간을 확보하고자 함
【측정산식】
    - 호우특보 선행시간 = {(∑ (호우특보 도달시각 - 호우특보 발표시각) +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당해년도 총 호우특보 발표건수
)

 
호우특보 선행시간 목표치 배점
기준1 기준2 점수
130분이상 5년 평균 130% 이상 10
110분이상 5년 평균 125% 이상 9
90분이상 5년 평균 120% 이상 8
70분이상 5년 평균 115% 이상 7
50분미만 5년 평균 110% 이하 6

성과지표: 전주기상지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
지역민의 안전 및 생활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의 정책 및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

[측정산식]
  -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점) = (①x0.11)+(②x0.34)+(③x0.27)+(④x0.28)

    ※ i=4개 항목, N=제공정보의 활용 건수, W=가중치
 
①(협력) :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협업계획, 업무협약, 협의회 등 협력 실적
②(기술지원):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기술이전, 활용지원, 기술자문, 현장지원, 교육 등 기술지원 실적
③(활용): 관계기관 사업계획(재난대책, 장비이전계획 등), 보고서(정책보고서, 성과보고서, 재해보고서 등) 등으로 확인되는 정책 수립·활용 실적
④(홍보): 관계기관 보도자료, 공식 누리집, 공식 SNS, 언론사 등에 게재된 홍보 실적
 
 
‘24년도 주요정책과제 개선·보완 사항
평상시 관계기관과의 소통 및 맞춤정보 제공 부족
전북특별자치도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부족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재방문이용객 유도를 위한 대표 프로그램 및 중장기 운영계획 필요
 
 
 
 
 
 

총233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추가 의견수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smiley

1차 의견수렴 결과 결과,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목표에 대해
전년대비 122%성장(37%), 전년대비 121%성장(34.8%), 전년대비 126%성장(28.3%) 순으로
응답되었습니다.

 
50%가 넘는 답변이 없는 관계로 1, 2순위 중 추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반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차 설문조사]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11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46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관리과제명 : 기상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 구현을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 주요내용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전북 농업인 영농기상기후정보들에서 콜서비스 최적화 연구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성과지표(안)
1번.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④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실적×27% 
            
기술이전 및 자문×34%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11% 
             
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8%
2번.
지역 맞춤형 기상기후정보서비스 대외협력지수() = +++④
- 지표정의: 협업 중심의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개발 및 서비스 확산 정도를 측정
- 산출식업무협약×40% 
              ②관계기관과의 협의회, 간담회 등 활동×30 

              ③협업을 통한 서비스 개발 실적×10% 
              ④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0%

 
 

 

총37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