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유 물 명 |
내 용 |
충청
권역 |
충주 호암동 복합유적 출토 청자병 |
회청색을 띠는 완형의 병으로 윗면에 꽃잎과 나뭇잎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 |
청주 비하동 유적 출토 묘지석 |
흙으로 만든 사각형 묘지석으로 앞면에 '밀(密)'자 를 새긴 후 흑색으로 칠한 것이 특징
*묘지석 : 무덤 주인의 인적사항, 사망, 매장시점 등을 돌에 기록하여 무덤 안에 묻는 것 |
보은 삼년산성 출토
긴 목 항아리편 |
목이 긴 항아리의 입구와 목 부분이 남아있으며, 그릇 표면에 빼곡하게 원점문(圓點文)과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이 새겨진 것이 특징
*원점문(圓點文) : 원 안에 점이 있는 문양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 : 삼각형 틀 안에 선을 촘촘히 넣은 문양 |
충주 창동리·루암리 유적 출토 분청사기 대접편 |
회녹색 유약을 바른 분청사기 대접편으로, 안쪽 바닥에는 국화꽃과 여의두무늬가 새겨져 있고, 그릇 위쪽에는 붓을 사용하여 흰색 화장토를 바른것이 특징
*여의(如意) : 불교 의례 도구로써, 그 머리 장식의 모양과 유사한 무늬를 여의두무늬라고 함. 구름 또는 꽃잎의 변형으로 여겨지며 영지버섯 문양을 닮음
*화장토 : 도자기 표면에 칠하는 흙물로서 점토를 주성분으로 하며 도자기 표면을 개선,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
충주 창동리·루암리 유적 출토 백자병편 |
병의 입구 부분만 깨진 백자병으로, 굽을 포함하여 전면에 연회청색의 유약이 발라져 있고,표면 전체에 가느다란 금이 생긴 것이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