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08월 19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가유산청 유적발굴과] 2024년도 발굴유물 역사문화공간(예담고) 대표유물 선정 결과
선정개요
선정내용 : 충청호남권역 예담고 대표유물 선정
참여기간 : ‘24. 8. 19.()~9. 20.()
참여자수 : 524
참여방법 : 온라인 투표방식의 선호도 평가
- 소통24(www.onsotong.go.kr)
- 국민생각함(www.epeople.go.kr)

선정결과
대표유물 선정결과
- 충청권역 대표유물 : 충주 호암동 복합유적 출토 청자병
- 호남권역 대표유물 : 제주 고산리 유적 출토 화살촉
 
0/1000
[국가유산청 유적발굴과] 2024년도 발굴유물 역사문화공간(예담고) 대표유물 선정 투표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 유적발굴과에서 ()한국문화유산협회에 위탁하여 운영 중인
발굴유물 역사문화공간 예담고에서 보관·관리하고 있는 유물 중,
예담고를 대표할 수 있는 유물을 선정하여 활용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국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예담고()
  • 예담고()란 옛것을 담는 공간, 옛것에 현재를 담을 공간이라는 의미를 지닌
    발굴유물 역사문화공간으로 지역 내 유휴시설(폐터널, 폐기숙사 등)을 재생하여
    권역별로 비귀속 유산을 위한 수장고를 마련하였습니다
    .
  •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비귀속 유산을 안정적으로 보관·관리하고
    전시
    , 교육, 문화행사 등에 지속적인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예담고 누리집 : https://www.yedamgo.kr)
권역별 사진
충청권역 호남권역 해양권역 영남권역

설문개요
  • 기간 : 2024. 8. 19.()~9. 20.()
  • 대상 : 일반 시민
  • 내용 : 예담고 소장 비귀속 발굴유물을 대상으로 각자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권역별로 투표 진행

※ 추가적으로 선정 이유와 예담고에 바라는 점을 의견으로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유물내용  *유물 사진 붙임 참고
 
충청권역
구분 유 물 명 내 용
충청
권역
충주 호암동 복합유적 출토 청자병 회청색을 띠는 완형의 병으로 윗면에 꽃잎과 나뭇잎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
청주 비하동 유적 출토 묘지석 흙으로 만든 사각형 묘지석으로 앞면에 '()'자 를 새긴 후 흑색으로 칠한 것이 특징
*묘지석 : 무덤 주인의 인적사항, 사망, 매장시점 등을 돌에 기록하여 무덤 안에 묻는 것
보은 삼년산성 출토
긴 목 항아리편
목이 긴 항아리의 입구와 목 부분이 남아있으며, 그릇 표면에 빼곡하게 원점문(圓點文)과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이 새겨진 것이 특징
*원점문(圓點文) : 원 안에 점이 있는 문양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 : 삼각형 틀 안에 선을 촘촘히 넣은 문양
충주 창동리·루암리 유적 출토 분청사기 대접편 회녹색 유약을 바른 분청사기 대접편으로, 안쪽 바닥에는 국화꽃과 여의두무늬가 새겨져 있고, 그릇 위쪽에는 붓을 사용하여 흰색 화장토를 바른것이 특징
*여의(如意) : 불교 의례 도구로써, 그 머리 장식의 모양과 유사한 무늬를 여의두무늬라고 함. 구름 또는 꽃잎의 변형으로 여겨지며 영지버섯 문양을 닮음
*화장토 : 도자기 표면에 칠하는 흙물로서 점토를 주성분으로 하며 도자기 표면을 개선,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충주 창동리·루암리 유적 출토 백자병편 병의 입구 부분만 깨진 백자병으로, 굽을 포함하여 전면에 연회청색의 유약이 발라져 있고,표면 전체에 가느다란 금이 생긴 것이 특징
  
 
호남권역
구분 유 물 명 내 용
호남
권역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요지 출토 청자 접시편 녹청색 유약을 바른 청자 접시의 일부이며, 바닥면에는 풀잎모양의 문양틀을 눌러서 찍어낸 것이 특징
부안 청림사지 출토 암막새 체의 2/3 정도가 남아있는 암막새로 드림새 중앙에 4장의 꽃잎문양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넝쿨풀 문양을 대칭으로 배치한 것이 특징
*드림새 : 막새의 끝 부분
*암막새 : 암키와 끝에 직사각형의 점토(드림새)를 붙여 만든 지붕 기왓골의 끝 장식기와
제주 고산리 유적 출토 화살촉 돌을 떼어서 만든 화살촉으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을 별도로 만든 형태이며, 우측 하단이 일부 결실되었으나 완형에 가까운 것이 특징
*제주 고산리 유적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
군산 내흥 유적 출토 청자 그릇편 회청색 유약을 바른 청자 그릇의 하단 부분으로, 그릇 안쪽 면에는 국화꽃과 줄기를 함께 표현한 문양과 여의두무늬가 새겨져 있고, 왕실 자기에서 주로 관찰되는 구름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문양 구성이 화려하고 선명한 것이 특징
남원 백장암 출토 명문 암막새 암키와 끝에 길게 늘어지는 형태의 드림새를 붙여 만든 암막새로서, 드림새 앞부분에 숭정2(崇禎二年, 1629) 기사(己巳)3월에 만들었다.’라는 명문이 있어 명확한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 특징
 
 
 

 

총34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