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06월 15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2022년 전라북도 테마제안 공모"에서 출발하였습니다.

□ 도민제안 실무심사 결과 (9건 선정)
 
연번 분야 접수
번호
제 안 명 제안자
1 배달 9 배달음식 청렴결bag 프로젝트 시범 추진 **
2 배달 13 나의그릇 이용한 쓰레기 줄이기” (나이쓰) 캠페인을 통한 일회용품 줄이기 **
3 배달 27 나는 다회용기로 주문하고, 봉사활동 시간 번다!! **
4 배달 58 우리는 친환경 아파트, ‘에코파크에 산다! **
5 청년 70 전북 청년 일자리 생성을 위한 워케이션형 지역 근무 거점 오피스 구축지원사업 온심 **
6 청년 71 063 청년 첫걸음 적금 프로젝트 **
7 청년 89 전북 우수기업-전국 청년 직무 프로젝트 기반 채용지원사업 **
8 청년 90 제비(JB) 팜스 메타버스를 활용한 청년 공유농업단지 조성 **
9 청년 111 2022 전북 청년 DAMOIM **
 

□ 공무원 제안 실무심사 결과 (12건 선정)
연번 분야 접수
번호
제 안 명 제안자
1 배달 2 사회적 일자리사업 연계 다회용 포장용기 공유 서비스 **
2 배달 4 일회용 수저 사용 저감의 터닝포인트 제도운영 **
3 배달 15 전라북도 용기 드림 **
4 배달 17 녹색음식점 배달직원 인건비 지원 **
5 배달 22 친환경 배달 문화 조성을 위한 다회용기 활성화 방안 **
6 배달 28 Zero Waste 전북 만들기 **
7 청년 30 청년 창업지원을 위한 단기 임대 공유매장 운영 **
8 청년 31 귀향청년 지원을 위한 고향기부 크라우드 펀딩 도입 **
9 청년 33 컴홈! 인구유입을 위한 외국인 청년인구 귀향 정착 방안 **
10 청년 38 College in jeonbuk, Encourage jeonbuk-새내기 청년에게 전북을 제안하기 **
11 청년 39 전북 대표청년 육성을 통한 인구유입 활성화 **
12 청년 41 농촌청년 준공무원제 도입 **
 
0/1000
[전라북도] 제5기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서포터즈를 모집합니다(2차)~

2023년 8월, 전라북도 새만금에서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가 열립니다. 세계스카우트잼버리는 4년마다 개최되는 전 세계 청소년들의 야영활동으로 각종 행사와 과정활동에 참여하여 개척정신과 호연지기를 기르고, 심신의 조화있는 발달을 꾀함으로써 자아실현과 국가발전 및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국제대회입니다. 전북 도민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고 대회 붐조성을 위해 제5기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서포터즈를 모집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모집기간 : 1차 모집 : 2022. 6. 20.(월) ~ 2022. 7. 20.(수) 24:00까지
2차 모집 : 2022. 8. 1.(월) ~ 2022. 8. 31.(수) 24:00까지
■ 모집인원 : 300명 내외
■ 모집대상 : 초·중·고 학생, 대학생, 유학생, 일반인 등 전북도민 누구나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 등 sns를 활발히 운영 중인 사람
 - 월 1회 이상 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 관련 sns 포스팅이 가능한 사람
■ 선발방법 : 자체 선발기준에 따른 서류전형(온라인 지원서 심사)
■ 활동기간 : 위촉 시 ~ 2023년까지
■ 활동내용 :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붐조성을 위한 홍보
 -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 SNS홍보 및 관련 행사 참여
- 전세계 스카우트에게 전라북도의 전통문화, 관광, 체험, 자연, 역사 등을 소개할 수 있는 게시글, 동영상 등 SNS 콘텐츠 제작 동영상 등 SNS 콘텐츠 제작
■ 활동혜택
 - 활동 우수자 인센티브 지급, 잼버리 홍보물품 제공
 - 활동실적에 따른 자원봉사 실적 인정
■ 접수방법 : 온,오프라인 접수 가능
 - 구글폼 : 
https://forms.gle/CGMrvHdGxY1xf3qm8
 - QR코드 접수(화면의 qr코드를 스캔하세요)
■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을 참고하시고, 기타 문의사항은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범도민지원위원회 사무처에(☎ 063-229-9601)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총2명 참여
2022년 전라북도 공유경제 활성화 시범사업 공고(3차)

전라북도에서는 소통 공유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2022년 공유경제 활성화 시범사업을 붙임과 같이 공고하오니 관심있는 시군 및 단체 기업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1. 사 업 명 : 2022년 전라북도 공유경제 활성화 시범사업
2. 사업기간 : 사업협약일 ~ 2023. 6. 30.
3. 공모분야
가) 공공형(시·군) : 시·군 공유재산(건물·토지) 등을 활용한 공공주도형 모델
나) 민간형 : 협동조합, 기업, 법인 등 민간자원을 활용한 민간주도형 모델
사업내용은 공유경제* 활동을 통해 지역 내 경제·복지·문화·환경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사업이 해당됨
4. 선정규모 : 2개 사업
5. 지원금액 : 1개 사업당 80,000천원 이내(도비 30%, 시군비 70%)
가. 도비 경상적 경비, 시군비 시설구축 등 자본적 경비로 사용 가능
나. 자부담 : 지원금액의 10% 이상 별도 부담
※ 자부담 비율 높을수록 심사 시 차등 가점 부여
공모 신청 시, 시·군 사업비 확보를 위해 예산부서와 협의 후 공모 신청
 
6. 신청자격
가. 공유를 통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하는 ·군 지자체 및 단체, 법인, 기업
나. 사업장 주소지(본점 및 지점 포함)사업의 주 활동 영역이 전라북도에 소재하여야 하며, 또한 사업수혜 대상이 전북도민이어야 하고 이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함

7. 제출기간 및 제출방법
가. 제출기간 : 2022. 7. 21.() ~ 8. 10.() (3주간)
나. 제출방법 : 해당 시·군 공유경제 담당부서에 접수(방문접수)(p.6 참고)
 
8. 제출서류: 첨부서류 참조
 
 
 

총2명 참여
2022 전라북도 음악창작소 도민 음악창작 교육 기초 심화 과정 수강생 모집

2022 전라북도 레드콘 음악창작소 도민 음악 창작교육 수강생 모집공고
 
(재)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에서는 도민 음악창작 소양 함양과 음악 콘텐츠 창작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한 창작활동 장려를 위하여 「2022 도민 음악창작 교육사업」을 운영하고, 이에 수강생을 모집하고자 하오니 도민 여러분들의 많은 지원 바랍니다.
2022. 7. 25.
(재)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장


□ 교육목적
❍ 쉽게 접근 가능한 음악 콘텐츠 창작 교육을 통해 도민 음악창작 소양 함양
❍ 음악창작 기초 교육과정 운영으로 음악창작에 대한 관심과 참여 유도


□ 공고개요
❍ 공 고 명: 전라북도 음악창작소 도민 음악창작 교육 수강생 모집
❍ 공고기간: 2022. 7. 25.(월) ~ 8. 14.(일) / 21일간
❍ 모집인원: 50명(선착순)
- (기초과정) 34명 / (심화과정) 16명


□ 모집내용(교육과정 중복신청 가능)
① 기초과정

❍ 교육대상: 만 14세 이상 음악창작에 관심있는 도민
❍ 교육내용: 개러지밴드(Garage Band)를 활용한 기초 창작실습
❍ 모집인원: 34명 ※ 2개반으로 운영하며, 신청시 필히 교육일정 참고
❍ 교육장소: 전라북도 음악창작소(전주시 덕진구 소리로 31)
❍ 수 강 료: 무료
❍ 교육일정 - 총 교육시간: 8시간(2주 과정, 주 2회, 교육 회차당 2시간)

교육반 8() 9() 비고
27 28 29 30 31 1 2 3 4 5 6 7 8
1분반                           각 교육일 16~18
2분반                          

커리큘럼
구 분 세부 학습내용 교육시간 비고
1주차 1차시 오리엔테이션
- 개러지밴드 기초 사용법, 음악구성의 이해
2시간 -
2차시 창작실습
- 드럼(Drum)과 리듬의 이해, 패턴 창작
- 코드 진행 만들기(기존 음원 활용)
2시간
2주차 3차시 창작실습
- 마이크를 활용한 오디오 녹음
- 나만의 코드 진행에 멜로디 만들기
2시간
4차시 믹싱/마스터링
- 믹싱과 마스터링 이해 및 실습
- 개러지밴드를 활용한 최종 음원 제작
2시간

심화과정
❍ 교육대상: 만 14세 이상으로 ProTools 또는 여타 DAW 소프트웨어에 대한 경험이나 이해가 있는 전라북도민
❍ 교육내용: Pro Tools(프로툴즈)를 활용한 홈 레코딩 실습 교육
❍ 모집인원: 16명 ※ 2개반으로 운영하며, 신청시 필히 교육일정 참고
❍ 교육장소: (재)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 1층 키움센터
(전주시 덕진구 만성북로 21-26)

❍ 수 강 료: 무료
❍ 교육일정 - 총 교육시간: 12시간(3주 과정, 주 2회, 교육 회차당 2시간)
교육반 8() 9() 비고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 2 3 4 5 6 7 8
1분반                                         각 교육일 13~15
2분반                                        

커리큘럼
구 분 세부 학습내용 운영시간
1주차 1차시 오리엔테이션
- 저작권교육, 홈레코딩 및 Pro Tools 이해
2시간
2차시 레코딩 입문: 레코딩의 이해
- 음향이론 및 사운드 디자인의 이해
2시간
2주차 3차시 레코딩 입문: DAW의 기초 및 활용
- 사운드 디자인 툴의 소개, 에디트 툴 및 세션, 프로젝트 기본 사용법
2시간
4차시 레코딩 심화: Pro Tools 이해 1
- 오디오 에디팅 및 시퀀싱,버스(Bus)와 채널의 이해와 활용
2시간
3주차 5차시 레코딩 심화: Pro Tools 이해 2
- 다이나믹 이펙트(EQ, Comp ) 및 시공간계열 이펙트(Dly, Rev) 활용
2시간
6차시 레코딩 심화: Pro Tools 활용 믹싱/마스터링
- 나만의 믹싱 템플릿 만들기
- 셀프 마스터링을 통한 최종 음원 제작
2시간

신청방법
❍ 신청기간 : 2022. 7. 25.(월) ~ 8. 14.(일)까지 / 21일간
❍ 신청방법 : 이메일 접수(issmb@jcon.or.kr)
- 교육 신청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첨부
※ 제출 시 파일명 “[과정명]교육신청서_성명” [예) 기초과정 교육신청서_홍길동]
❍ 문 의 처 : 로컬사업팀 방경희 선임(063-282-3766,
issmb@jcon.or.kr)
 
□ 기타사항
❍ 모집결과 수강생 적정인원 미달시 재공고 될 수 있습니다.
❍ 교육시 필요한 기자재는 진흥원에서 제공(대여)하며 필요시 교육자료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 해당 교육은 전액 무상으로 지원되나, 수강생이 교육수강에 필요한 기타 경비(교통비 등)는 진흥원에서 부담하지 않습니다.
 

총2명 참여
2022년 전라북도 테마제안 공모

            2022년 전라북도 테마제안 공모
 
전라북도에서는 창의적이고 참신한 정책 아이디어를 다음과 같이 공모하여 우수 제안을 도정에 반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2022422
                                                      전라북도지사
1. 공모기간: 2022. 4. 22.() ~ 6. 30.() 18:00까지
2. 공모자격: (도민제안) 누구나 참여가능
              (공무원제안) 전라북도 공무원(시군포함)
3. 공모주제 분야에 관련 없는 제안은 심사단계에서 제외
 

컴백홈! 인구 유입을 위한 청년인구 귀향정착 방안
- (예시)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들의 안정적 정착 지원방안
- (예시) 청년 유입을 위한 직업주거교육 등 지원방안
배달음식배달포장 쓰레기 줄이기 방안
- (예시) 배달음식 포장재 및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방안
- (예시) 식료품 배달 등 포장재 배출 감축대체 방안
 
제안으로 볼 수 없는 사항
1. 일반적으로 공지되었거나 이미 사용 또는 이용되고 있는 것
2. 특허권·실용신안권·디자인권을 취득하였거나 공무원 직무발명의 처분·관리 및 보상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보상이 확정된 것
3. 이미 채택된 제안이거나 그 기본구상이 이와 유사한 것
4. 일반 통념상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것
5. 단순한 주의 환기·비판·진정·건의 또는 불만의 표시에 불과한 것
4. 응모방법
작성서식: 공모 제안서 1(붙임 양식)
제출수량: A4용지 12매 정도
제출방법: 온라인, 우편 또는 방문
온라인: 국민신문고(https://www.epeople.go.kr) 접수
-(도민) 국민신문고국민제안공모제안2022년 전라북도 테마제안선택신청
-(공무원) 행정포탈/새올국민신문고(인증서로그인)제안공모제안공모제안신청 또는 국민신문고(공무원인증)국민제안공무원제안공모제안신청2022년 전라북도 테마제안
우편 또는 방문접수
우편: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전라북도청(정책기획관실) 제안담당자 앞
* 온라인, 방문접수는 접수마감일 18:00 도착분, 우편은 접수마감일 소인분
5. 심사 및 시상 심사일정은 기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실무심사: 실현가능성, 창의성, 효과성 등을 고려하여 본심사 대상제안 선정
본 심 사: 제안자 발표심사 등을 통해 수상등급 결정*
* 발표심사 대상자 8월 안내, 발표(5분 이내)에 필요한 PPT 자료 및 기타 자료 준비
시상내역
 
구분 금상 은상 동상
도민 150만원(1) 120만원(2) 70만원(3)
공무원 100만원(1) 60만원(3) 30만원(4)
6. 유의사항
제출된 제안서 및 관련 서류는 선정 여부를 불문하고 반환하지 않음
응모된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는 원칙적으로 제안자에게 귀속됨
채택된 아이디어에 대해 시상금을 지급하는 경우, 제안에 대한 권리는 전라북도에 귀속됨
본인 제안이 아니거나, 국내 사례 복사 제출 또는 타 공모전의 동일, 유사한 내용은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입상 후 이와 같은 사실이 발견될 경우에는 입상이 취소될 수 있음
중복 응모된 제안은 먼저 접수된 제안을 우선 심사 선정
응모된 아이디어는 공개하지 않으며, 수상 아이디어는 제안자의 동의를 얻어 3자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할 수 있음
도민 제안 공모전으로 제출된 제안이 내부사정으로 시책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 타 시도 및 중앙정부 정책을 전라북도 상황에 맞게 변형하는 경우 반드시 출처 명시
* 전라북도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정책제안으로서 전라북도 상황 분석 필요
기타문의 사항은 전라북도청 정책기획관실 (063-280-2304)로 문의바랍니다.
 
붙임 제안서 서식 각 1. .
 

총1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