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11월 29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낚시 이용객(선상낚시)의 환경부과세 추진
최근 TV매체 등을 통한 낚시의 인기로 덩달아 낚시인구 및 낚시어선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어업을 생계로 하는 영세 어업인들의 피해와 애로사항이 늘어나고 있다.
 
첫번째, 왠만한 섬들 주변에는 낚시어선들이 빽빽히 둘러싸 낚시로 수산동물을 포획함으로써 수산자원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번째, 이들이 사용하는 인조미끼, 납추, 낚시줄 등으로 해양오염 유발은 물론 어업인들이 투망한 어구 손괴까지 야기한다.
 
본인들이 좋아하고 즐기는 취미이자 여가생활이지만 누군가(바다, 어업인)에게는 고통을 줄 수 있다.
 
환경을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해 최소한 정화 할 수 있는 예산과 어업을 생계로 하는 이에게 보상하기 위한 환경부과세를 도입이 필요하다.
 
낚시어선들은 이용객의 수 만큼 일정한 부과세를 납부하게 하고,
이로 만들어진 예산은 해양쓰레기 수거 등 정화사업에 사용하고 어구에 걸려 올라온 인조미끼, 납추 등을 수거한 어업인에게는 수량만큼 보상해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
0/1000
해상 폐어구 발생 예방 및 수거 방식의 현실성 필요

□ 발생원인
 ○ 불법어구 및 손상어구 등 고의 해상 투기
 ○ 불가항력(타인의 어구 손괴,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해상 유실

□ 문제점
○ 해상 폐어구로 인한 연근해 어장 수산자원 감소 및 환경오염 유발 
○ 해상 부유물로 인한 선박 안전운항 저해
  - 선박 추진기 어구감김 등으로 선박 전복, 표류사고 등 빈번하게 발생

□ 제안사항
 ○ 주요 항·포구 해상 폐어구 수거장 지정․운영
  - 항․포구 관할 지자체 또는 인근 관공서(해경)에 해상 폐어구 집하 신고
   * 지차제 유선연락 또는 인근 관공서 등을 경유하여 종류 및 수량 등 신고
 ○ 해상 폐기물 수거 업체 및 재활용 업체를 지정하여 폐어구 등 운반
  - 신속한 처리를 위한 권역별 근거리 업체를 선정하여 운영
   * 관공서 담당자 입회하에 운반량을 확인하여 추후 비용 지급 등 검토 
 ○ 해상 폐어구 수거 등 어업인 교육·홍보
  -  어업인의 해상 폐어구 수거 자발적 참여를 위한 폐어구 수거 및 처리 절차 교육·홍보 
 ○ 해상 폐어구 수거 앱 개발·활용
  - 원활한 처리를 위해 수거장의 상황(종류, 수량 등)을 앱으로 정보등록(관할 관공서)
   * 폐어구 수거업체는 앱 정보를 수신받아
수거 시기 및 수거 시 주의사항 등을 확인 후 수거 
 ○ 어구사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도입 
  - 업종별 조업선에 대한 어구사용 DB 구축하여 어구관리일지 또는 어구사용 기록일지를 보급·사용하는 어구사용관리제 도입 
  - 어구 유실시 종류, 수량, 위치 등 정보를 해당기관(근해-해양수산부, 연안-지자체 등) 보고하여 어구유실보고 의무화
   * 향후 유실보고 정보를 토대로 유실어구 신규 구입량 적용 검토

 


 

총2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