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09월 15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의견 수렴
본 설문을 참고하여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을 위한 주요업무 및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참고하겠습니다.
0/1000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입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산출물의 활용도와 개선 의견에 대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생각함의 안건을 조금더 발전시켜 위성산출물의 미래 개발 방향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한
국민들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앞서 국민생각함 탄생과정에서 실시한 위성산출물 개발 방향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설문 3 결과

설문4 결과

 
위의 결과를 참고하여 미래기술, 맞춤형 위성정보 등 여러분이 향후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위성영상 서비스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적어주세요
.
(예: 미래기술 적용한 위성산출물의 정확도 개선 등)

국민생각함을 통해 제시해주시는 의견을 참고하여
향후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위성정보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 설문자료] 2. 위성서비스 개발 방향

국가위성센터는 위성산출물의 활용 확대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미래기술, 관측자료 중첩, 위성영상 상세화, 맞춤형 위성정보 생산 등 다양한 개선 계획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위성서비스 개선 방향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서비스 개선 영상(예시) >
천연색 RGB 영상 인공지능기반 천연색 RGB 영상 안개+시정계 중첩 영상
(기존) 천연색 RGB(), (인공지능기반) 천연색 RGB() 관측자료 중첩(안개+시정계)
 
천연색 RGB(AI)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야간에 생산되지 않던 천연색 영상을 24시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안개+시정계 위성 안개 영상에 지상 시정계(관측자료) 자료를 중첩하여 보다 정확한 안개 정보 제공(시정계 자료를 하늘색 원으로 표시)
------------------------------------------------------------------------------------------------------------------------------
 
 
 
 

 

총6명 참여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입니다.
국가기상위성센터는 52종의 기상산출물(안개, 황사 등)을 개발하여 
기상청 날씨누리, 국가기상위성센터, 클라우드방재기상 홈페이지를 통해서 국민들께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공 중인 주요 위성산출물 활용 및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 방향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질문에 자유롭게 답변 부탁드립니다.

------------------------------------------------------------------------------------------------------------------------------
1.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산출물 소개
 
국가위성센터에서 제공 중인 위성산출물은 기본적으로 전구, 동아시아, 한반도 영역에 대해
10분 또는 2분 간격으로 영상을 생산하여 서비스 하고 있음

위성영상 중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산출물과 관련 개선 의견을 자유롭게 알려주세요
 
안개 영상 황사/에어로졸 탐지 대류운 발생탐지
안개 황사/에어로졸 대류운
 
안개 안개 감시를 목적으로 동아시아와 한반도 영역 제공. 안개가 확실할수록 
빨간색구름에 가까운 안개일수록 노란색에서 초록색으로 정보를 제공
황사/에어로졸 한반도로 유입되는 황사/미세먼지를 감시할 목적으로 맑은 영역에 대해
황사(노란색), 에어로졸(빨간색)에 따라 정보를 제공
대류운 향후 2시간이내 강한 강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대류성 구름을 감시하기 위해 상승강도(강, 중, 약)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출(한반도 영역 제공)
 
(구름) 운정고도 (구름) 지상운량 (강수) 강우강도
(구름) 운정고도 (구름) 운량 (강수) 강우강도
 
운정고도 구름으로 탐지된 영역에 대해 구름 상부의 고도(온도, 기압 등)를 파악하여
초단기 예보 구름 분석에 활용하며
, 각 고도별로 색상으로 표현(0~15km)
운량 기상청 초단기예보(하늘상태)에 활용되는 산출물로 일정한 하늘 영역에서의 구름의 양을 맑음, 구름많음, 흐림 3단계로 표출
강우강도 일정 영역에서 특정 시간 동안 관측되는 강우량을 0.5~100mm/h 로 산출
주로 레이더 탐지 영역을 벗어난 구역에서의 강우 정보 파악에 활용
 
산불탐지 적설 탐지 (항공) 착빙
산불 적설/헤빙 (항공) 착빙
 
산불 청천영역에 대해 산불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한 지역을 탐지하여 
붉은색으로 표출
적설 지표면에 쌓인 눈과 바다의 해빙을 각각 탐지하여 적설(흰색), 해빙(하늘색)
으로 표출
. 겨울철이나 봄철 황사 발원지 적설 감시 등에 활용
(항공) 착빙 항공기상 지원을 위해 구름에서의 착빙 발생 가능성을 탐지하여 약한 강도(Light), 중간 또는 강한 강도(Moderatae)로 표출함(한반도 영역만 제공)

------------------------------------------------------------------------------------------------------------------------------
2. 위성서비스 개발 방향

국가위성센터는 위성산출물의 활용 확대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미래기술, 관측자료 중첩, 위성영상 상세화, 맞춤형 위성정보 생산 등 다양한 개선 계획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위성서비스 개선 방향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서비스 개선 영상(예시) >
천연색 RGB 영상 인공지능기반 천연색 RGB 영상 안개+시정계 중첩 영상
(기존) 천연색 RGB(), (인공지능기반) 천연색 RGB() 관측자료 중첩(안개+시정계)
 
천연색 RGB(AI)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야간에 생산되지 않던 천연색 영상을 24시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안개+시정계 위성 안개 영상에 지상 시정계(관측자료) 자료를 중첩하여 보다 정확한 안개 정보 제공(시정계 자료를 하늘색 원으로 표시)
 
 
위성영상 서비스 개선을 위해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총46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