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08월 18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민간 관측자료 활용에 대한 장기 계획 수립

- (1단계) 국민 추천 관측자료의 활용 가능성 검토

- (2단계) 가용 관측자료의 샘플 수집 및 수치모델 영향 평가

- (3단계) 우수 관측자료의 상시 수집 요청 (관측기반국 협조)
 
0/1000
관측자료의 수치예보모델 활용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

<관측자료의 수치예보모델 활용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

- 기간: 2021.08.18(수) ~ 27(금)
- 대상: 대국민 및 관련분야 전문가

기상청은 국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위해 지구 전체를 다루는 전지구수치예보시스템부터
한반도 예보에 집중한 지역규모시스템까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수치예보모델*
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치예보모델은 일어나지 않은 미래 시점의 현상을 미리 계산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오류를 가지기 마련이며 이 오류들은 예측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증가합니다
.
예측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수치예보모델을 보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관측자료를 수치예보모델에 활용하는 일은 정확한 예보를 위해서 더욱 확대되어야 합니다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IOT** 관측자료들이 측정되고, 민간에서 다양한 관측자료들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들 중 스마트폰의 센서에서 측정된 기압을 수치예보모델에 활용하는 연구가 있으며,
민간 항공기에 탑재된 센서에서 측정한 기온, 압력
, 풍속 자료는 이미 기상청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기상청에서 활용하는 관측은 대부분 공공기관에서 생산하고 관리하는 자료들입니다.

 
 향후 다양한 관측자료를 수치예보모델에 확대 활용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수치예보모델이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미래의 날씨가 어떻게 변할지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서
,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00

 

총62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