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03월 09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2021년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 국민 의견수렴 결과 반영

2021
년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 국민 의견수렴 결과 반영

안녕하십니까
 
2021년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의견수렴 결과를 수용하여 다음과 같이 성과지표를 수정 반영하였습니다.
 
< 의견수렴 개요 >
참여기간 : 39() ~ 319() / 11일간
설문참여 : 63
방법 : 국민생각함
대상 : 대국민
 
< 주요내용 >
(적절성) 3개 성과지표의 성과목표, 관리과제에 대한 적절성은 98.4%가 적절하다고 하였음
(지표간 연계성) 3번 지표(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지수)가 상위 1번 지표(수치모델정확도 향상 지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부연 설명 필요
국민 실생활에 민감한 단기 지상 기온에 대한 수치모델 예측 성능 향상을 통해 고품질 기상서비스 구현하고 정확도 향상 시 상위 성과목표인 수치예측기술력 향상도 연계됨을 기대효과에 명시함
(쉽게작성, 추가설명) 전문성 있는 분야로 이해하기 어려우니 쉽게 작성하고, 추가 설명 필요
수치모델정확도 향상 지표
- (타국가 비교치) 이해도 향상을 위해 미국, 일본 정확도 비교치 제시 필요
현재 설정된 목표치는 1위 모델인 ECMWF 모델 기준으로는 격차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ECMWF 모델이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현 목표치 추세를 유지할 경우, 2위 모델인 영국모델을 2028년에 따라잡을 수 있을 뿐 아니라, 3위 그룹에 속한 미국모델을 2021년에 추월하여 격차를 벌릴 수 있게됨(목표치 도전성)을 지표정의서에 상세히 설명함
- (산식 작성 근거 추가 설명) 17월 기온을 사용한 이유 설명 필요
같은 모델이라도 계절에 따라 다른 성능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모델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여름철(7)과 겨울철(1)을 모두 점검함
 
위성관측종 활용률 지표
- (수치모델 성능 향상과의 관계성) 관측종 증가와 성능 향상과의 관계성 설명 필요
기대효과란에 수치모델성능에 미치는 관측자료 중 위성관측자료는 단기예측 오차 약 64% 감소에 영향을 줌 명시됨
- (난이도) 달성에 대한 난이도 등 설명 필요
위성 입전, 위성 자료 활용 기술 개발 등 관측 종 추가에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도전적이고 고난이도 지표임. 기상청의 신규 기상위성 GK-2A와 해외 선진기관에서 활용하지 않는 GOES-17, Metop-C 등의 위성 산출물 활용을 위해서는 고성능 관측자료 처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매우 도전적인 지표임.

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지수 지표
- (난이도) 지표의 난이도 등에 대한 설명 필요
기온은 수치예보모델 성능을 평가에 사용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며, 지표에 사용된 지상 기온은 국민 실생활에 민감한 기상 요소 중 하나로 설정함.
- (작년 실적값 추가 요구) 기준값에 작년 실적이 들어가지 않는 사유 설명 추가 필요
2020년 실적치(79.3%)2022년 목표치까지 초과 달성한 것을 반영하여, 2021 목표값을 2023년 목표치였던 80.9%로 상향 조정함.
 
감사합니다.

 
 

 
0/1000
2024년 수치모델링센터 국민체감 정책수립을 위한 의견수렴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는
위험기상 신속 대응을 위해

수치예보모델 수요자 체감형 지원 확대
수치예보모델 정확도 향상 지속적으로 

추진(성과목표) 하고 있습니다.
 
'24년 국민이 체감하는 주요업무 정책수립성과지표 운영을 위해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방법/대상: 국민생각함/대국민 
참여기간: 3. 20.() ~ 3. 26.()/1주간 
내용: 2024년 성과관리 시행계획 및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 국민편익 증진 향상 기여도 정책 반영여부 등 의견수렴

*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24년 수치모델링센터 성과관리 시행계획
 
[성과목표] 위험기상 신속 대응을 위한 수치예보모델 수요자 체감형 지원 확대 및 정확도 향상 추진
 
관리과제: 대내외 수치예보모델제공
만족도 향상을 위한 수요자 체감형 지원 확대

· 단기예보 연장(35)을 위한 한국형지역모델 예측기한 연장(35) 운영
· 한국형모델 기반 국지 앙상블모델 운영(5)
· 청내 수치예보모델 정보 공유 플랫폼 개설
· 기상청·산림청 협업을 통한 산악기상서비스 개선
 
관리관제: 빈틈없는 예보지원을 위한
전주기적 한국형모델 성능 개선 추진

· 물리과정·자료동화 개선을 통한 전지구 한국형모델 성능 개선
· 단기예보 및 초단기예보 상세화(1km) 추진
· 인공지능 기반의 수치예보자료 생산 및 제공
 
□ 2024년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글로벌 경쟁력(%) 
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개선율(%)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위성 관측 활용의 글로벌 경쟁력(%)

 

총53명 참여
수치모델링센터 국민체감 정책수립을 위한 의견수렴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해 
우리나라 수치예보모델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성과목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민이 체감하는 주요업무 정책수립과 성과지표 운영을 위해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개요
 
방법/대상: 국민생각함/대국민
 
참여기간: 2023. 3. 16.() ~ 3. 28.()
 
내용: 2023년 수치모델링센터 성과관리 시행계획 및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
, 국민편익 증진 향상 기여도 정책 반영여부 등 의견수렴
             (상세내용 첨부파일 참조)
 
- 2023년 수치모델링센터 성과관리 시행계획
[성과목표] 기상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기술 글로벌 경쟁력 확보
관리과제: 한국형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수치예보기술 역량 강화
관리관제: 한반도 지역 수치예보모델 성능 개선과 상세화로 활용성 제고 및 정책지원 강화
 
- 2023년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예측성능 향상도(%)
세계 1위 모델 대비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위성 관측 활용률(%)
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지수(%)

총52명 참여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국민체감 정책수립을 위한 국민 의견수렴(~3.30.수까지)

안녕하십니까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우리나라 수치예측기술 글로벌 경쟁력 확보(성과목표)를 위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수립 성과지표 운영을 위해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관리과제 설정과 주요정책>
 
관리과제 1 : 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수치예보기술 역량 강화
- (한국형 수치예보모델 예측성능 개선) 위성 등 관측자료 활용 확대 및 자료 동화 체계 고도화
- (수치예보 환류체계 마련 및 소통 강화) 날씨 예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치예보모델 분석 및 주기적 환류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 기상현상의 규모, 예측기간에 따라 전지구, 지역, 국지 등 시·공간 해상도가 다른 수치예보모델을 하나의 모델로 구현하고, 예측기간 확장하는 시·공간 통합형 수치예보기술 개발
 
관리과제 2 : 한반도 지역 예측성능 개선 및 상세화로 기상정책 지원 강화
- (한반도 지역모델 개발 및 성능 개선)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 기반 활용 목적별 성능특화 지역 및 초단기 수치모델 개발
- (수치가이던스 등 수치예보 활용 지원) 최신 기계학습 및 통계 기법 등을 적용하여 수치예보 가이던스 개선
- (기상정책 이슈 지원 강화 및 활용 확산) 항공기상, 신재생에너지 등 청내 미래 기상 정책 적극 지원

========================================================


<성과지표()> 
 

성과
목표
지표
o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글로벌 경쟁력(%)
= (B / A) × 100
- A:당해연도 연구개발을 통해 개선된 전지구예보모델(한국형모델)5일 수치예측오차
- B:수치예측기술수준 세계 1위 기관(ECMWF)의 전지구예보모델의 5일 수치예측오차
* ECMWF: 유럽중기예보센터 (유럽연합이 공동출자하여 만든 기상예보센터)
기상청 모델이 정확해 질수록 세계 1위 대비 경쟁력 지수는 100%에 가까워짐
22년 목표치 : 83.5% 목표 달성 시, 기상선진국인 일본 모델 수준의 성능 도달
관리
과제
지표
o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위성 관측 활용 확대()
= 3년 이내 ECMWF 대비 85% 달성 목표로 당해연도 연구개발을 통해 전지구모델(한국형모델)에 추가한 위성관측종이 포함된 총 위성 관측종 수
목표치 : 2246종 달성 시, ECMWF(63) 대비 73% 도달
관리
과제
지표
o 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지수(%)
PSS = ( 1 - A / B ) × 100
- A: 기온 예측 오차의 분산
- B: 기온 관측의 변동성(분산)
* 대상: 당해년도 연구개발을 통해 개선된 모델의 24시간 예측 지상기온
* PSS(Priestley skill score)는 관측의 자연 변동성을 잘 반영하여 예측이 수행되었는가를 평가하는 예측성능 지수
* 예측모델의 한계를 감안하여 85%를 최종목표로 설정(예측과 관측이 동일할 경우 PSS100%.)
목표치 : 2284% 달성 시, 85%(2025) 최종 목표를 조기 도달 가능
- 이 지표는 2020년 지표 신설 시 현업 모델의 4(`16~`19)평균 기준값 보다 1% 높은 74.3%에서 2025년까지 85%를 목표로 하여 연차별로 약 2.2% 향상시켜 목표값을 설정하였음
 
 
 

총65명 참여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국민 의견수렴

안녕하십니까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발굴하기 위하여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성과지표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참여기간 : 310() ~ 316() / 일주일

*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우리나라 수치예측기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치예측기술 역량 강화수치예보 성능개선 및 활용성 제고를 위해 업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성과목표: 기상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치예측기술 글로벌 경쟁력 확보
 
관리과제
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수치예측기술 역량 강화
- (관측자료 활용 확대) 위성 등 관측자료 활용 확대 및 자료 동화 체계 고도화
- (미래기술 접목) 대기-파랑모델 결합시스템 개선 등 한국형 모델 예측성능 개선
- (수치예보기술 개발) 중간 대기 물리과정 개발 등 시·공간 통합형 수치예보기술 개발
 
기상정책 지원 강화를 위한 한반도 수치예보 성능개선 및 활용성 제고

- (실황-초단기 예측성능 개선) 레이더, 민강항공기, 낙뢰 자료 활용 등으로 예측 성능 개선
- (수도권 고층 집중관측자료 활용)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이음새 없는 한국형물리과정 개선
- (성능개선을 위한 예보관 환류) 날씨 예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치예보모델 분석 및 주기적 환류

성과지표()

성과
목표
지표
o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글로벌 경쟁력(%)
= (B / A) × 100
- A:당해연도 전지구예보모델(한국형모델)5일 수치예측오차
- B:세계 1위 기관(ECMWF)의 전지구예보모델의 5일 수치예측오차
목표치 : 2283.23% 달성 시 기상선진국인 일본과 미국 모델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 도달
관리
과제
지표
o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위성관측종 활용률(%)
= (당해 총 위성관측종 활용 수 ÷ 2022년도 계획 총 위성 관측종 활용 수) × 100
목표치 : 2022년도 계획 총 위성 관측종 활용 수(48, 세계 2위 수준 영국)
관리
과제
지표
o 한반도지역 단기예측 성능 지수(%)
PSS = ( 1 - A / B ) × 100
- A: 기온 예측 오차의 분산, B: 기온 관측의 변동성(분산)
* 대상: 당해년도 연구개발을 통해 개선된 모델의 24시간 예측 지상기온
* PSS(Priestley skill score)는 관측의 자연 변동성을 잘 반영하여 예측이
수행되었는가를
평가하는 예측성능 지수

목표치 : 현업 모델의 4(`16~`19)평균 기준값 보다 1% 높은 74.3%에서
2025년까지 85%를 목표로 하여 연차별로 약 2.2% 향상시켜 목표값을 설정함

예측모델의 한계를 감안하여 85%를 최종목표로 설정
(예측과 관측이 동일할 경우 PSS100%.)

총66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