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현된 생각

□ 여성가족부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확대하고 참여 청소년의 안전한 귀가지도와 긴급돌봄지원을 강화한다.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기관 : (’20) 304개소 → (’21) 332개소 → (’22) 350개소
ㅇ 올해부터 귀가차량을 운영하는 200여 개소 방과후아카데미 운영기관에 임차에 필요한 비용을 개소당 월 67만 원 추가 지원한다.
※ 귀가차량 임차료 지원 : 기존 77만 원 → 변경 144만 원(+67만 원)
- 도심 외 지역의 방과후아카데미에서는 접근성이 낮은 곳에 위치한 경우 청소년의 안전을 위해 저녁 귀가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ㅇ 아울러 귀가차량 운영 시 동승자가 없어 안전의 우려가 있던 1인 운영기관(탄력운영형* 9개소)에는 보조인력 1명을 새로이 투입하여 청소년들의 안전한 귀가를 돕는다.
* 탄력운영형(구(舊) 인원축소형) : 1개반 15명, 1인 팀장이 운영하는 모형으로 기본형(1개반 30명, 종사자 2인)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 운영되는 모형임
□ 또한 백신 미접종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방과후아카데미 외부인 출입 시 접종증명 확인 등 방역관리를 강화한다.
ㅇ 코로나로 인한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돌봄시간을 연장하고, 지원대상을 확대한 ‘안심돌봄방’을 올해도 운영하여 방역상황에 맞게 긴급돌봄을 지원한다.
코로나19 관련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안심돌봄방’ 운영
❖(운영시간 연장) 기존 16:00~21:00(운영시수 4시간) → 변경 09:00~21:00
❖ (지원대상 확대) 등록 청소년 → 미등록 청소년도 지원 가능
* 긴급돌봄의 경우 운영기관의 교급(초등/중등)과 무관하게 지원 가능
❖(생활지도 실시) 유선‧SNS 상담 및 돌봄‧안전상황 확인, 가정방문 통한 맞춤형 긴급물품지원, 건강‧위생상태 확인 등
❖ 긴급돌봄 지원(’21년) : 총 136만명(돌봄 41.5만명, 급식제공 67.7만명, 학습지원 27.1만명)
□ 한편, 새 학기를 맞이하여 전국 350개의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에서 2022학년도 신입생을 모집한다.
ㅇ 참여 청소년의 자격은 방과 후 돌봄(활동)이 필요한 청소년(초4~중3)으로 소득 기준은 없으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ㆍ조손ㆍ다문화ㆍ장애가정, 2자녀이상ㆍ맞벌이가정을 우선하여 지원한다.
ㅇ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에서는 급․간식, 상담, 학업을 지원하고, 동아리․캠프 활동, 문화․예술․체육 등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자기주도적 성장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ㅇ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참여 신청 문의 및 상담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누리집(http://www.youth.go.kr/yaca/index.do)’의 지역별 운영기관의 연락처로 하면 된다.
< 신청 문의 >
▪ 청소년활동진흥원 : 02-330-2831~4
▪ 누리집 : http://www.youth.go.kr/yaca/index.do
※ (초등생 신청) 정부24 ‘온종일돌봄원스톱서비스’(www.gov.kr)를 통한 신청 가능
□ 여성가족부는 설 연휴 기간(1.29~2.2) 동안 민생 안정 지원을 위해 여성긴급전화 1366, 청소년상담 1388 등 상담 서비스를 24시간 정상 운영한다. 또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시 평일요금을 적용해 비용 부담을 낮춘다.
□ 설 연휴 기간 중 지원하는 민생 안정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ㅇ (가정폭력 등 피해상담) 여성긴급전화 1366과 해바라기센터(아동형 제외 등 31개소)*를 24시간 운영하며, 가정폭력과 성폭력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폭력 피해자에게 상담 및 긴급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피해자에 대하여 상담, 의료, 법률, 수사지원을 통합 제공
▴(전화상담) 1366 ▴(카카오톡상담) women1366 ▴(온라인상담) www.women1366.kr |
-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청소년상담 1388(전화·모바일·온라인 등) 역시 정상 운영되며, 위기청소년을 위한 긴급상담 및 청소년쉼터 이용 정보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전화상담) ☎지역번호+1388 ▴(문자상담) 1388 ▴(카카오톡 상담) 청소년상담1388 ▴(온라인상담) www.cyber1388.kr |
- 다문화가족 및 이주여성은 다누리콜센터(1577-1366)에서 24시간 13개국 언어*로 상담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베트남어, 중국어, 타갈로그(필리핀)어, 몽골어, 러시아어, 태국어, 크메르(캄보디아)어, 일본어, 우즈베키스탄어, 라오스어, 네팔어, 영어, 한국어 등 13개국 언어 제공
▴ (가족 상담) 1644-6621(매일 오전 8시~오후 10시, 문자상담·채팅로봇(한국어·영어) 24시간 가능) ▴ (다문화가족 상담) 다누리콜센터(☎1577-1366) ※ 다누리포털 www.liveinkorea.kr |
ㅇ (아이돌봄 지원) 설 연휴에도 출근하는 맞벌이, 한부모 가정 등에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이돌봄 서비스를 정상 운영한다.
- 특히, 이번 설 연휴 기간(1.29~2.2)에는 휴일에 적용하는 50% 요금 가산을 적용하지 않아 평일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문의) ☎1577-2514(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신청) 아이돌봄 누리집 : https://idolbom.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