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방기상청‘국민 체감형 성과지표’발굴을 위한 국민 의견수렴
기상청 자체평가를 위한 관리과제별 성과지표 검토 요청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광주지방기상청에서는 지역사회 안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를 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관리과제명 : 지역사회 안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 관리과제 주요내용
○ [국민안전] 지역방재 기상서비스 강화로 국민안전 확보
- (핀셋 기상정보) 자연재해 취약구역 여름․겨울철 맞춤서비스 수행
- (특보세분화) 광주광역시 특보(폭염, 호우, 대설)구역 세분화 추진
- (해양안전) 항로안전지수 개발로 전남다도해 맞춤형 해상예보 서비스 강화
- (영향예보) 폭염, 한파, 태풍피해 최소화를 위한 산업 분야별 영향예보 생산
- (가뭄관리) 효율적 물관리 지원을 위한 기상가뭄 예측정보 제공
○ [지역특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 (산업기상)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상기후정보
- (도시기후) 광주광역시 대상 도시기후 분석기술 시범운영 및 확대적용
- (지역기후) 광주전남 新기후평년값 제공으로 지역산업 및 정책 활용
- (레저기상) 지역민의 편안한 레저활동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소통공감] 관계기관과 시민이 함께하는 정책 협업 플랫폼 구축
- (방재협업)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 감시 및 방재기상 체계 강화
- (정책협업) 기상기후정보에 대한 온·오프라인 방식의 유연한 상생 협업
- (언론소통) 국민이 체감하는 기상기후 이슈 및 예측정보의 시의적절한 제공
- (국민소통)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참여형 기상기후과학 프로그램 운영
○ [미래전략] 인공지능을 적용한 기상기술 발굴 및 미래기상 인프라 확대
- (기상연구) 예보·관측 기술 향상을 위한 연구 및 성과 공유
- (기상기술) 4차산업 핵심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기상정보 가치 확장
- (체험공간) 과학․예술이 융복합된 국립여수해양기상과학관 건립(~2023년)
- (관측인프라) 위험기상 감시를 위한 관측망 보강 및 환경 최적화
□ 성과지표(안)
1 |
o 광주전남지역 호우특보 선행시간 = {(∑ (① - ②) + ∑ ③)} ÷ ④
①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② 호우특보 발표시간 ③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④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 신속한 특보로 방재관련기관에서 대응하기 위하여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산정함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선제적으로 발표한 특보에 한하여 특보기준에 미도달 했더라도 유효율을 반영하여 산출
|
2 |
o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항목(i)별 실적건수 X 가중치)
항목(i) |
인정범위 |
가중치 |
① |
정책보고서, 성과보고서 등 관계기관 정책에 활용된 실적 |
0.27 |
② |
기술이전, 현장지원, 자문 등 실적 |
0.34 |
③ |
협업계획(사업계획서), 업무협약 실적 |
0.11 |
④ |
보도자료, 공식 누리집, 공식 SNS 등을 통해 지역민에게 홍보된 실적 |
0.28 |
☞ 기상·기후정보가 지역의 현안 해결을 위해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활용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전대응부터 현장지원, 정책반영 및 소통환류 등의 결과를 측정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