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03월 16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희망도서 추천목록을 작은도서관 자료선정 목록에 반영

1. 2021년 제1차 작은도서관 자료 선정을 위한 사전 희망도서 추천 의견 수렴 안내(총무과-3776, 2021.03.17.)
   => 추천도서명, 저자명, 추천사유를 포함하여 댓글 작성(이벤트 운영)

2. 2021.03.25.(목)에 2021년 제1차 자료선정협의회 개최(총무과-3739, 2021.03.16.)하여 자료선정 심의 완료
   => 기 소장자료 및 중복된 도서를 제외한 63종의 이용자 추천도서(국민생각함)가 구매목록[붙임2]에 포함
       (총무과-4284, 2021.03.26.)[붙임1]

3. 2021년 제1차 작은도서관 도서구입 계약 요청 완료(총무과-4482, 2021.03.31.)
 
0/1000
공직사회 유연근무제 안착 및 확산

부산광역시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유연근무제 운영지침(총무과-1682, 2012. 8.22.)에 의거,
부산시교육청 공무원은 1일 법정 근무시간인 8시간의 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출퇴근시각을 결정할 수 있도록 시차출퇴근형 유연근무가 보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가족사랑의 날' 운영에 따른 매주 금요일 08:00~17:00 근무와 자녀돌봄을 위한 유연근무제를 신청, 적용받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이 제도를 활용하는 직원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선진국이나 일부 민간기업은 오래전부터 전략적으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여 적극 추진 중이고, 구성원 개개인의 사정과 형편에 맞게 출퇴근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 가정 양립과 사기앙양, 공직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도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공동근무시간대(10:00~16:00) 설정과 준수로 기관, 부서간 업무 협조가 가능하도록 하며, 업무공백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대행자 지정과 복무관리를 철저히 하는 등 유연근무제 확대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공직사회에서 유연근무제의 성공적인 안착이 민간으로 확산되어 합리적이고 유연한 근무 환경 조성으로 국민이 보다 행복해질 수 있기를 기대하며, 
유연근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인식전환, 분위기 조성)에 대해 함께 고민해봤으면 합니다. 
 

총4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