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1년 03월 05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결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 중심의 성과지표로
총 설문 인원 중 27명(79.4%)가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를 선택하였습니다.

성과지표에 대한 의견으로는
1. 기상과 관련된 예보, 관측 등이 주요사항에 포함
2. 총 점수 외에 각 항목에 대한 목표 건수가 필요
3.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작성
 의견이 있었습니다. 

새로 제안해줄 성과지료에 대한 의견으로는
1. 전주기상지청이 전북도민에게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대외적 평가 항목 추가
2. 유관기관과의 관계 지표보다 국민서비스 중심의 지표가 필요
3. 새만금 영향 분석에 대한 연구 수행 필요
4. 기상장비의 높은 수준 요구
의견이 있었습니다.

성과지표 설정시 참고해야할 내용으로
본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하여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말씀 드립니다.

 
0/1000
[전주기상지청] 국민체감 정책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하여 성과지표작년 주요정책과제
선보완 사항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 전주기상지청 주요 업무
기상재해 대응 기반 강화 및 국지예보연구 활성화로 도민안전 지원
수요자별 현장중심형 맞춤형 정보제공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
지역현안 문제 해결 및 지역특화 서비스 운영으로 도민 편익 증진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및 협력 확대 기후위기 적응 대책 지원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운 활성화 및 계층별 기후 참여 프로그램으로 기후변화 이해 확산

전주기상지청 성과지표

성과지표 : 호우특보 선행시간(방재관련기관 및 주민 대응 시간)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여 방재 관련기관과 주민의 대응시간을 확보하고자 함
【측정산식】
    - 호우특보 선행시간 = {(∑ (호우특보 도달시각 - 호우특보 발표시각) +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당해년도 총 호우특보 발표건수
)

 
호우특보 선행시간 목표치 배점
기준1 기준2 점수
130분이상 5년 평균 130% 이상 10
110분이상 5년 평균 125% 이상 9
90분이상 5년 평균 120% 이상 8
70분이상 5년 평균 115% 이상 7
50분미만 5년 평균 110% 이하 6

성과지표: 전주기상지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
지역민의 안전 및 생활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의 정책 및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

[측정산식]
  -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점) = (①x0.11)+(②x0.34)+(③x0.27)+(④x0.28)

    ※ i=4개 항목, N=제공정보의 활용 건수, W=가중치
 
①(협력) :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협업계획, 업무협약, 협의회 등 협력 실적
②(기술지원):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기술이전, 활용지원, 기술자문, 현장지원, 교육 등 기술지원 실적
③(활용): 관계기관 사업계획(재난대책, 장비이전계획 등), 보고서(정책보고서, 성과보고서, 재해보고서 등) 등으로 확인되는 정책 수립·활용 실적
④(홍보): 관계기관 보도자료, 공식 누리집, 공식 SNS, 언론사 등에 게재된 홍보 실적
 
 
‘24년도 주요정책과제 개선·보완 사항
평상시 관계기관과의 소통 및 맞춤정보 제공 부족
전북특별자치도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부족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재방문이용객 유도를 위한 대표 프로그램 및 중장기 운영계획 필요
 
 
 
 
 
 

총233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추가 의견수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smiley

1차 의견수렴 결과 결과,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목표에 대해
전년대비 122%성장(37%), 전년대비 121%성장(34.8%), 전년대비 126%성장(28.3%) 순으로
응답되었습니다.

 
50%가 넘는 답변이 없는 관계로 1, 2순위 중 추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반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차 설문조사]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11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46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관리과제명 : 기상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 구현을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 주요내용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전북 농업인 영농기상기후정보들에서 콜서비스 최적화 연구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성과지표(안)
1번.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④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실적×27% 
            
기술이전 및 자문×34%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11% 
             
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8%
2번.
지역 맞춤형 기상기후정보서비스 대외협력지수() = +++④
- 지표정의: 협업 중심의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개발 및 서비스 확산 정도를 측정
- 산출식업무협약×40% 
              ②관계기관과의 협의회, 간담회 등 활동×30 

              ③협업을 통한 서비스 개발 실적×10% 
              ④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0%

 
 

 

총37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