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11월 03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ㅇ 제안해주신 의견을 참고하여 밀원수림 조성방안 수립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ㅇ 참여 의견
  - 아까시, 피나무, 헛개나무, 밤나무 등 
  - 밀원생산량 연구와 산업화를 위한 기반마련
  - 밀원수의 조성을 위한 조림 및 숲가꾸기 기술
0/1000
밀원수 조성과 관련하여 어떤 수종을 심어야 산업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산림청에서는 양봉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밀원수림을 지속하여 조성하고 있습니다.
- 양봉농가 추세(천호) : (’11) 19.4 (’19) 29.0
- 국유림 내 밀원수림 연간 150ha 조성
- 양봉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20.8)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밀원 가치평가 연구를 통해 헛개나무의 우수한 밀원 효과를 규명(’20.6)하는 등 밀원자원 우수 품종육성 및 표준재배기술을 재배·연구하고 있습니다.
- 헛개나무가 아까시나무보다 꿀 생산량이 10배 이상 높음
 
또한 2019년에는 양봉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밀원수 25개 수종을 재선정(’19.6)하였습니다.
- 밀원수종(25) : 아까시나무, 헛개나무, 밤나무, 쉬나무, 옻나무, 피나무, 마가목,
                        
쥐똥나무, 음나무, 산초나무, 참죽나무, 층층나무, 모감주나무
                        
황칠나무, 벚나무(산벚), 황벽나무, 때죽나무, 백합나무, 오동나무,
                        
산딸나무, 두릅나무, 매실나무, 붉나무, 동백나무, 칠엽수

 
이와 관련하여 밀원수 조림에 어떠한 수종을 심어야 산업경쟁력(목재산업, 밀원산업)이 있을지 다양한 의견을 구합니다.
 

총45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