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12월 04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청소년특별회의 결과보고회 12.4.(금) 개최, 연간 활동결과 보고
붙임 1   2020년 청소년 특별회의 결과보고회 개요
행사 개요
 
: 청소년특별회의 연간 활동 보고 및 우수사례 시상 등
일시/장소 : 12. 4.() 15:30~16:30 / AW컨벤션센터
주최/주관 :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참 가 자 : 50여명 이내(500여 명 온라인 참석)
- 청소년특별회의 위원 및 2020년 우수 청소년참여위원회 등
* 코로나19로 인한 현장 참석자 최소화 하되, 온라인으로 참석 및 소통 추진
주요내용
- 2020년 청소년특별회의 정책과제 및 수용사항 발표
- 청소년 참여위원회·청소년 특별회의 우수 지역 및 청소년 등 시상
세부일정()
시 간 주요 내용 비고
15:30~15:35 5‘ 참석자 소개 (온라인 포함) 온라인
중계
15:35~15:39 4‘ 2020 청소년특별회의 영상 상영 (경과 보고)
15:39~15:42 3‘ 개회사
15:42~15:45 3‘ 인사말(장관)
15:45~15:57 12‘ 2020년 정책과제 보고
15:57~16:01 4‘ 건의문 낭독 및 제안과제 전달
16:01~16:06 5‘ 2020년 우수사례 시상
*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온라인 정책제안 공모전
16:16~16:31 15‘ 17개 지역회의 및 선발직 대표 소감발표
16:26~16:28 2‘ 폐회 및 기념촬영
* 코로나19등을 감안하여 일부 세부일정 조정이 있을 수 있음.
 
 
정책과제
32개 과제 수용(부분수용 포함)
분야 정책과제 소관부처 수용 결과
1. 취업 맞춤형 멘토(기관)멘티(청소년) 프로그램 지원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후기청소년 인턴 및 실습 지원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주관 취창업 동아리 네트워크 구축  
여성가족부
수용
지자체 및 시도 교육청 공동 취창업 동아리 공모사업 활성화 교육부, 17개 교육청 부분수용
청소년 직업윤리 교육 확대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청소년 근로 관련 부정적 인식 개선(광고, 교육)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2.
정보
교육지원청 주관 직업(진로)체험 확대 교육부, 17개 교육청 부분수용
직업체험 업무협약을 통한 진로프로그램 제공 교육부, 17개 교육청 부분수용
학교 교육과정에 자립교육 의무화 교육부 부분수용
청소년 자립 필수정보 파악 및 교육 프로그램 조성 교육부 등 수용
청소년 자립 지원 정보제공 포털 구축 고용노동부 부분수용
청소년 자립 지원 홍보물 제작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화에 대한 홍보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수용
3.
보호
사용자 대상 청소년 노동권 교육 실시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현장 실습 지원 고등학교 대상 안전 관리 강화 교육부 등 부분수용
특성화고 현장실습 환경 개선 교육부 등 부분수용
근로 청소년 피해 지원 확대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근로 청소년 정신 건강 증진 여성가족부 등 부분수용
지역사회 청소년시설(꿈드림 등)과 학교 밖 청소년 연계 시스템 구축 여성가족부 수용
보호종료청소년 자립 지원 확대 보건복지부 수용
보호 시설 퇴소 연령 상향 보건복지부 부분수용
4.
경제
후기청소년 전·월세 대출 기준 완화 및 확대지원 금융위원회 부분수용
청년 주거복지 정책자료 확대보급 국토교통부 부분수용
청소년키움통장(가칭)’ 개설 보건복지부 불수용
청소년 수당 지급 여성가족부 부분수용
정규 교육과정 내 금융(실물경제)’ 개설 및 의무교육 실시 교육부 부분수용
학교 밖 청소년 대상 금융교육 여성가족부 수용
대학생 금융교육 및 금융교육 선순환 제도 마련 금융위원회 부분수용
5.
특별
과제
한국형 police diversion(경찰선도프로그램) 도입 경찰청 부분수용
중재 협의 및 민간 투자형 선도 프로그램 도입 경찰청 부분수용
스토킹 방지법 개정을 통한 피해자 보호 조치 강화 법무부 부분수용
학교폭력 내 스토킹 처벌 강화 및 교육 실시 교육부 부분수용
SNS 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등 보호체계 확대 여성가족부 부분수용
* 다부처 소관 과제인 경우, 1개 기관이상이 수용 시 부분수용으로 표기
0/1000
아카이브814 도메인 주소 (위안부 자료제공)

(주소) http://www.archive814.or.kr
메인 페이지 및 메뉴구성

<아카이브814 메뉴 구성>
(아카이브) 일본군위안부관련 1차 자료 제공
(컬렉션) 주제별로 자료를 엮어 위안부자료 및 위안부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제공
(연표) 일본군위안부련 주요사건의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 연표에 연결된 기록물 선택 시, 해당 자료 원문 연동 기능을 통해 바로 확인 가능
(자료센터) 연구소 자료센터에 소장된 총 2,732건의 단행본, 정기간행물 등을 검색

 
주요 메뉴 구성 체계
 
자료센터 : 연구소가 수집한 위안부관련 국내외 도서, 정기간행물, 잡지류를 직접 열람할 수 있는 곳(9월 개관 예정)으로 소장자료 목록 검색 가능
 

총1명 참여
여성가족부,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운영 지역 공모(8.13.~8.26.)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개요
 
추진 목적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부모 외의 주민도 참여하는 돌봄친화적 지역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 자원의 활용성 강화 및 지역 사회 활성화 도모
 
사업 개요
 
(지원 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등 12개 지역
(지원 방식) 지자체 공모 (운영기관+돌봄공동체 협업)
(추진 체계)
여성가족부 사업 총괄
   
총괄 관리운영 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컨설팅교육 지원, 네트워크 연계 지원, 모니터링
돌봄 공동체 모델 개발 연구, 매뉴얼 개발 등
   
지자체 사업 운영·집행·정산
돌봄공동체 발굴 및 운영 지원, 지역 돌봄자원 연계 등
   
운영 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돌봄 공동체 발굴·육성
돌봄 활동 운영 지원, 돌봄 장소 발굴·연계,지역 맞춤형 활동 연계 등
  협업  
돌봄공동체 공동체 운영 및 돌봄 활동 실시
 
(지원 내용) 돌봄 활동비, 전문가 컨설팅교육네트워킹 등
(소요 예산) 690백만 원
* 총괄 관리 운영기관 240백만원(민간경상보조)
* 돌봄 공동체 활동 지원 450백만원 (지역당 75백만원, 국비보조50%)
< 돌봄공동체 모형 >
 
(공동체구성) 부녀회, 경로회, 마을 청년 등으로 구성되어 틈새돌봄, 공동체성, 주민주도, 지속가능성이 있는 지역 주민 공동체
(공동체유형) 부모자조모임 품앗이형’, 마을 커뮤니티 공간 기반 주민모임 마을 공동체형및 비영리 법인 단체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대상) 012
(운영 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간에 따라 주중/주말 자유롭게 운영
(장 소) 공동육아나눔터, 작은도서관, 경로당, 마을회관, 아파트 유휴 공간, 체험학습장 등
* 지역 주민이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민 생활문화 공간 발굴
(돌봄 활동) 학습놀이체험, 등하교 지원, 급식 지원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돌봄 공동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2021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지역을 813()부터 826()까지 공개모집 합니다.

이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셔요^^
 

총0명 참여
'부산 서구 가족센터' 개관(가족 돌봄과 상담, 재취업 교육을 한 곳에서 통합지원)

    부산서구 가족센터 개요
 
(소재지) 부산 광역시 서구 구덕로 127(토성동556-4번지 일대)
 
(규모) 지하2~지상7
대지 면적 779.8, 건축면적 584.06/연면적 4,589.6(전용 + 공용)
 
(건립기간) 2017~2019
 
(입주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동육아나눔터, 여성새로 일하기센터, 건강관리센터, 치매안심센터 등
 
 
[부산 서구 가족센터 층별 공간 구성 현황]
 
시설 지원 내용 운영시기
1 카페 및 가족도서관   7.6.~
2 건강관리센터 금연 클리닉, 아토피천식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가족단위 건강관리 지원 2.24.~
3 공동육아나눔터 이웃과 함께 자녀를 돌보는 공간 제공 접수 중
4 치매안심센터 치매 예방, 상담등록 및 전담 코디네이터 매칭, 치매환자 가족 힐링카페 2.28.~
5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취업상담, 맞춤형 취업 정보 제공, 직업교육훈련 운영 등 2.24.~
6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자녀돌봄, 가족상담, 부모교육 서비스 등 6.29.~
7 다목적홀, 가족연회실 행사 개최 및 장소 제공  
지하1~2 기계실 및 주차장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감안하여 개소 후 비대면 또는 소그룹 프로그램 운영 중
 
지역 주민들이 한 공간에서 가족 돌봄과 상담,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과 건강 등 다양한 가족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부산 서구 가족센터 2020년 724() 개관하였습니다.

국민여러분의 많은 이용 및 의견 부탁드립니다.
 

총0명 참여
여성가족부,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운영 지역 공모(8.13.~8.26.)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개요
 
추진 목적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부모 외의 주민도 참여하는 돌봄친화적 지역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 자원의 활용성 강화 및 지역 사회 활성화 도모
 
사업 개요
 
(지원 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등 12개 지역
(지원 방식) 지자체 공모 (운영기관+돌봄공동체 협업)
(추진 체계)
여성가족부 사업 총괄
   
총괄 관리운영 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컨설팅교육 지원, 네트워크 연계 지원, 모니터링
돌봄 공동체 모델 개발 연구, 매뉴얼 개발 등
   
지자체 사업 운영·집행·정산
돌봄공동체 발굴 및 운영 지원, 지역 돌봄자원 연계 등
   
운영 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돌봄 공동체 발굴·육성
돌봄 활동 운영 지원, 돌봄 장소 발굴·연계,지역 맞춤형 활동 연계 등
  협업  
돌봄공동체 공동체 운영 및 돌봄 활동 실시
 
(지원 내용) 돌봄 활동비, 전문가 컨설팅교육네트워킹 등
(소요 예산) 690백만 원
* 총괄 관리 운영기관 240백만원(민간경상보조)
* 돌봄 공동체 활동 지원 450백만원 (지역당 75백만원, 국비보조50%)
< 돌봄공동체 모형 >
 
(공동체구성) 부녀회, 경로회, 마을 청년 등으로 구성되어 틈새돌봄, 공동체성, 주민주도, 지속가능성이 있는 지역 주민 공동체
(공동체유형) 부모자조모임 품앗이형’, 마을 커뮤니티 공간 기반 주민모임 마을 공동체형및 비영리 법인 단체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대상) 012
(운영 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간에 따라 주중/주말 자유롭게 운영
(장 소) 공동육아나눔터, 작은도서관, 경로당, 마을회관, 아파트 유휴 공간, 체험학습장 등
* 지역 주민이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민 생활문화 공간 발굴
(돌봄 활동) 학습놀이체험, 등하교 지원, 급식 지원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돌봄 공동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2021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지역을 813()부터 826()까지 공개모집 합니다.

이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셔요^^
 

총1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