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대형재난 발생시 최일선 현장 대응 소방대원 안전성 확보 방안
- 산업의 다양화, 도심지역 인구 집중, 도심지역 건축물의 고층화 등의 요인으로 특수·대형 재난의 예측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고에 대응하는 현장 소방대원의 위험도는 더욱 예측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1977년 ~ 2014년 미국 소방대원의 현장 사망원인 분석에 따르면 의학적 사망 58%를 제외한 나머지 42%는 붕괴, 갑작스런 폭발, 추락 등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1990년대 산업안전청(OHSA)는 최일선 현장대원의 위험도를 더욱 낮추기 위하여, 사고대응 소방대원을 구조하기 위한 RIT(Rapid Intevention Team) 에 대한 규정을 발표하였습니다.
-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OHSA 29 CFR 1910.134 에 기재된, 사고가능성이 있는 소방대원을 구조하기 위한 구조대원 배치, 사고 구조대원 구조 절차, TWO IN / TWO OUT 시스템, RIT 대원의 공기 관리 규칙 등 이 있습니다.

- 특수·대형 재난의 대응에 있어서 최일선 구조대원의 사고 가능성을 줄이는 "구조대원을 구조하는 RIT system"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하여 국민여러분과 소방가족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