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 종사자의 항생제 사용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방안 등에 대한 국민생각 수렴
► 글로벌 보건안보 위협으로 급부상한 항생제 내성균(슈퍼박테리아)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16년부터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습니다.
* 감염병의 필수 의약품인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 발생과 유행은 치료법이 없는 신종 감염병 이상의 파급력을 가지며, 사망율 증가, 치료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 등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되며, 나아가 사회경제적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외에 농축산물, 식품, 환경 등 생태계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 전파가 가능하므로 범부처 포괄적 관리 필요합니다.
► 농림축산식품부도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에 비 인체분야(축산)에서 항생제의 내성율 감소와 사용감축(올바른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1) 배합사료 항생제 첨가 금지('11) : 사료생산 시 항생제 사용첨가 금지
2) 수의사 처방제 도입('13) : 현재 32종의 항생제의 처방대상 지정
3) 동물병원, 동물용의약품 도매상의 투약지도 의무화
4) 동물 및 축산물 내성균 모니터링 확대 및 반려동물 분야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 마련
5) 축산업 종사자 대상 항생제 사용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 축종 및 질병별 항생제 사용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등
► (국민생각 작성 요청 사항) 위와 같이 다양한 항생제 내성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율의 감소를 위해 더욱 강도높은 정책들과 홍보방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과 내성율 감소를 위한
1) 정책 아이디어,
2) 축산업 종사자 대상 인식개선을 위한 핵심 교육 내용
3) 항생제 내성 관련 대국민 홍보교육을 위한 방안(아이디어) 등
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아래 댓글란을 통해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