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상청입니다.
‘기상관측차량’에 대한 설문조사에 시간을 내어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총 설문 참여 인원: 36명
○ 질문 1. '기상관측차량'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예’가(27명, 75%)로 ‘아니오’(9명, 25%)보다 많았습니다.
○ 질문 2. '기상관측차량'을 어떤 관측 분야에 활용했으면 좋을지 선택해주십시오. (복수 선택)
- 산불감시(20명, 20.6%)
- 집중호우 감시(14명, 14.4%)
- 태풍 관측(14명, 14.4%)
- 황사 및 미세먼지 감시(13명, 13.4%)
- 안개 관측(6명, 6.2%)
- 대설 관측(7명, 7.2%)
- 국가 재난현장 기상지원(22명, 22.7%)
- 기타(1명, 1%): 태풍, 홍수, 지진, 안개 관측
관측 분야 활용으로는 재난현장 기상지원(22명, 27%)와 산불감시(20명, 20.6%)가 많았습니다.
○ 질문 3. [필수]'기상관측차량'에 가장 필요한 임무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복수 선택)
- 지상 관측(17명, 21.5%)
- 고층 관측(8명, 10.1%)
- 실시간 영상 촬영 기능(19명, 24.1%)
- 재난 현장 기상브리핑 기능(18명, 22.8%)
- 관측자료 제공 기능(17명, 21.5%)
기상관측차량의 임무로는 실시간 영상 촬영 기능과 재난 현장 기상브리핑 기능, 지상 관측 기능, 관측자료 제공 기능이 고르게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 질문 4. [필수]'기상관측차량'이 어느 지역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그렇게 생각한 이유가 무엇인지 적어주세요.
-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13명, 36.1%)
- 강원도 지역(14명, 38.9.%)
- 충청도 지역(0명, 0%)
- 전라도 지역(0명, 0%)
- 경상도 지역(3명, 8.3%)
- 제주도 및 섬 지역(6명, 16.7%)
기상관측차량의 필요 지역으로는 강원도 지역(14명, 38.9.%)이 가장 많았고, 수도권지역(13명, 36.1%)이 뒤를 이었고 제주도 및 섬지역(6명, 16.7%)이 그 다음이었습니다.
○ 질문 5. 질문4.에 대해 그렇게 생각한 이유가 무엇인지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수도권지역은 인구가 많고 재해가 날 확률이 많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많았고, 강원도 지역은 산지가 많아 접근이 어렵거나 산불이 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제주도 및 섬 지역은 태풍이나 지진이 잘 나는 곳이고, 관측장비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 질문 6. '기상관측차량'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기상관측차량이 국가재난지원에 활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또한, 신속한 기상지원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기타 의견으로는 라이다 영상 촬영이 가능했으면 좋겠다는 의견, 현장 중계 지원시 관측자와 운전자의 안전 확보가 우선이라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기상관측차량이 다양하게 활용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정책 추진에 있어 여러분의 의견을 참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