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10월 23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서울기상관측소와 기상관측장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기상청입니다.

서울기상관측소와 기상관측장비에 관해 궁금한 점을 받았습니다. 총 30분이 참여해주셨고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0. 29. (목)에 언론인들의 대상으로 기상강좌가 열릴 예정입니다.
그와 관련하여 참석하지 못하는 여러분들께는 이곳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1. 관측소 연혁 및 현황에 관한 질문

ㅇ 서울기상관측소에서의 관측시작은 몇 년도인가?
ㅇ 지금도 계속 사람이 저 건물 안에서 일하고 있나요?!?!? 
ㅇ 서울기상관측소 건물 외관이 요즈음 드라마에 보이던데, 엄청 멋지더라고요 무엇을 형상화했는지 언제 지었졌는지 궁금합니다. 

서울기상관측소는 언제 세워졌나요??
서울기상관측소는 왜 종로구 송월동에 위치해있나요? 
서울기상관측소에는 몇 명이 근무하고 있나요? 
서울기상관측소는 언제부터 관측을 시작했나요?
 서울관측소가 종로구 송월동에 위치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답변) 서울기상관측소 관련 사항 
ㅇ 서울기상관측소의 인력: 5인(소장 1, 관측 4)
ㅇ 서울기상관측소 연혁:
  - 기상관측 개시 (1907. 10. 1.)
  - 서울 종로구 낙원동 58번지로 이전(1913. 1.)
  - 송월동으로 신축 후 이전*(현재 위치, 1932. 11. 1.)
    * 이전 배경: 낙원동은 지형이 낮고 지가가 높고, 조용하지 못함
  - 송월동 기상관측 개시(1933. 1. 1.)
    ※ 기상청 본청의 신대방동 이전(’98.12.) 후에도 관측 연속성 유지를 위해 송월동(서울기상관측소 108)에서 관측업무 계속 수행 중
  - 세계기상기구(WMO) 100년 기상관측소로 지정(2017. 5.)


2. 관측소 방문에 관한 질문
ㅇ 100된 역사가 놀랍네요. 아이 데리고 가보고 싶은데 일반인 견학은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ㅇ 건물이 이쁜데 한번 가보고 싶어요.
ㅇ 거기가 기상박물관으로 바꼈다고 들었는데 견학 가능한가요?
ㅇ 기상박물관 개관 날짜와 방문 시 해설사의 해설과 함께 관람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상박물관 관련 사항
ㅇ 관람시간
10:00–18:00(17:00 까지 입장)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신정, 설추석 당일, 선거일
※ 단체는 사전예약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사정에 따라 입장, 관람 시간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ㅇ 전시해설
국립기상박물관은 사전예약제를 통해
평일 4회(10:00, 11:00, 14:00, 16:00),
주말 5회 (10:00, 11:00, 14:00, 16:00, 17:00) 전시해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1/3(화)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
 
ㅇ 전시내용
상설전시 중인 삼국시대, 조선시대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기상기술의 변천과 근대 건축물에 대한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3. 기상관측장비에 관한 질문
- 관측소에 있는 기상관측장비가 무엇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관측 장비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관리는 어떻게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100년된 건물이 관리가 잘되어 이쁘네요~ 100년된 관측소에 가면 옛날에 관측하던 장비들도 볼 수 있겠죠??
- 관측소장비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었나요?
- 관측소에서 관측되는 요소는 무앗이 있나요?
- 100년이 넘는 관측기간동안 관측하는 기상요소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그리고 현재는 모든 요소를 자동관측하는지 궁금합니다.
- 강수량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 우리생활에 필요한 날씨를 관측해주는 고마운 곳이네요~ 관측은 365일동안 계속 하나요?
 

(답변) 서울기상관측소 관측장비 현황
ㅇ 자동기상관측장비
  - 기상관측을 1분 주기로 자동으로 관측
  - 관측요소: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습도, 강수량(0.1ㆍ0.5㎜), 강수유무, 일사량, 일조시간, 초상온도, 지면온도, 지중온도, 시정·현천, 운고·운량, 적설 등
 
ㅇ 운고운량계
  - 원리: 연직으로 레이저빔을 쏘아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3개의 층의 운고와 운량을 측정
  - 관측주기는 1분이며 운고·운량 산출은 지난 30분 동안의 관측자료를 산술 평균하여 1분 자료로 생산
 
ㅇ 시정현천계
  - 원리: 적외선 광원을 발사, 수신하여 공기중에 있는 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 흡수되는 빛의 산란 강도를 통해 시정값을 산출
  -관측주기는 1분이며 10분 이동평균 한 시정자료를 현재 시정값으로 사용
 
ㅇ 레이저식적설계
 - 원리: 적설판에 레이저 광을 송출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통해 거리를 측정
 
ㅇ 부유분진측정기(PM10)
 - 대기 중에 부유하는 직경 10㎛ 이하 입자의 농도(㎍/㎥)를 연속 측정

4. 그 외 기상관측에 관한 질문
관측장소 바닥은 대부분 잔디가 깔려있던데 무슨 이유가 있나요?? 
(답변) 관측값이 지면상태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측장소에 잔디를 깝니다.

- 서울기상관측소와 기상관측장비에 관해 궁금한 점 좀 더 신뢰할수 있는 정확도이죠?
- 기상 관측소에 어떤 관측장비를 사용하느냐가 아니라 기상관측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관심이 있습니다.

- 서울에는 다른 기상관측장소는 없나요?
- 전국에 관측소는 몇 개인가요
(답변) 서울지역에는 28개의 자동기상관측장비가 기상관측장소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국에는 624개소의 자동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국적인 관측망 운영으로 관측신뢰도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 관측소는 송월동에 있고 기상청은 동작구에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관측자료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답변) 관측자료는 실시간으로 홈페이지나 언론 등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예특보 생산에 필요한 자료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기상정보 교환을 위하여도 세계여러나라들과도 관측자료를 교환하고 있습니다.

- 100년 전 관측자료는 어떻게 보관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상요소별, 지점별로 저장장치를 통하여 전산자원으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 100년이 넘는 기간동안 관측이 되었다고 하는데 관측 기간 동안 관측이 중지되거나 한 적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 기간 동안에는 관측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0/1000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