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10월 20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해양 자원의 보전과 어획량 증대 방안
이 생각은 "해양 자원의 보전과 어획량 증대 방안"에서 출발하였습니다.
1. 1차 의견 정리결과: 조회 70, 공감 3, 관심1, 참여 댓글 24
 ① 불법어선 단속 강화 ② 노후어선 감척 ③ 양식업 활성화(선진국 벤치마킹) ④ 바다쓰레기 불법투기 감시 강화
 ⑤ 해양자원 보전 과 증식에 대한 꾸준한 연구, 치어의 남획 방지 대책 수립 ⑥ 지자체, 중앙부처의 어선 관리를 일원화
 ⑦ 지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 및 특화 상품 개발 ⑧ 어촌 종합계발 계획 확대
 ⑨ 육지로부터 오염 물질 유입 규제 감시 감독제도 도입 ⑩ 선박으로부터의 기름 유출에 대한 대응책 및 사고 예방 노력
 ⑪ 환경변화에 대응(온난화 대비 국제적인 노력)
 ⑫ 오염배출 무방류 원칙 도입 및 모니터링 시설 설치 (산업단지 폐수, 지역 하천 생태계 관리)
 ⑬ 생분해성어구 개발지원 ⑭ 홍보의 다양화(감척대상선박 개조, 등대 외벽 빔프로젝트 글귀홍보, SNS와 유튜브 홍보)
 ⑮ 예산 확보 및 정책의 지속성

2. 2차 의견 정리결과: 조회 31, 공감 7, 관심 2, 참여 댓글 18
 ① 한중일간 현행 어업협정 관련 지속적인 교류·협력 ② 양식산업 활성화 및 관련기술 개발
 ③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신규 어업기술 개발 ④ 인식전환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어업교육기관 확대
 ⑤ 적극적인 교육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⑥ 
현장실태 반영을 위한 정책 수렴의 장 확대 ⑦ 치어방류사업 확대
 ⑧ 바다쓰레기 사업 확대 ⑨ 치어 대량 방류 및 남획방지를 위한 지도감독 ⑩ 부처와 어민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 수립
 ⑪ 수산 관련 인력 예산
·증원 ⑫ 제한된 양의 어구 사용과 어구위치발신기 사용(어구유실방지)
 ⑬ 현장실태 반영을 위한 정책 수렴의 장 확대


해양 자원의 보전과 어획량 증대 방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 호응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보내주신 의견들은 내부검토 후
정책 추진 과정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1000
수산자원 회복과 국민적 관심사 제고방안을 위한 의견수렴

 최근 '먹방'과 '쿡방'이 대세로 자리잡은 만큼 TV나 스마트폰으로 관련 콘텐츠들을 쉽게 접할 수가 있는데요.
요리를 하고 음식을 먹는 프로그램들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서 외식을 하지 않고,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해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우리나라는 풍부하고 신선한 수산 특산물들을 활용해서 여러가지 맛있는 음식들을 즐길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연안의 소중한 수산자원들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씨가 마른 명태, 금징어 등 한국인이 선호하는 수산물의 어획량이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높아진 환경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금어기·금지체장을 지키지 않는 무분별한 어획과
해양환경 오염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은 어업질서 확립을 위한 연근해 불법어업 예방·단속, 어업인 안전 조업지원,
어업 간 갈등조정 등 지속가능한 해양자원의 실현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 미래 세대들에게도 수산자원이 풍부한 바다를 만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수산자원을 회복하고 이와 관련 국민들의 관심사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유롭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총103명 참여
수산자원 회복과 국민적 관심사 제고방안을 위한 의견수렴

 최근 '먹방'과 '쿡방'이 대세로 자리잡은 만큼 TV나 스마트폰으로 관련 콘텐츠들을 쉽게 접할 수가 있는데요.
요리를 하고 음식을 먹는 프로그램들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서 외식을 하지 않고,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해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우리나라는 풍부하고 신선한 수산 특산물들을 활용해서 여러가지 맛있는 음식들을 즐길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연안의 소중한 수산자원들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씨가 마른 명태, 금징어 등 한국인이 선호하는 수산물의 어획량이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높아진 환경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금어기·금지체장을 지키지 않는 무분별한 어획과
해양환경 오염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은 어업질서 확립을 위한 연근해 불법어업 예방·단속, 어업인 안전 조업지원,
어업 간 갈등조정 등 지속가능한 해양자원의 실현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 미래 세대들에게도 수산자원이 풍부한 바다를 만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수산자원을 회복하고 이와 관련 국민들의 관심사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유롭게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총49명 참여
해양 자원의 보전과 어획량 증대 방안

'해양 자원의 보전과 어획량 증대방안'에 대해 1차 의견수집과정에서 관심있는 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아래 참여댓글들에 더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이나 추가적인 의견을 자유롭게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① 어선감척(불법단속어선, 노후어선, 대형어선)
② 양식업 활성화(선진국 벤치마킹, 관련기술개발)
③ 적극적이고 꾸준한 홍보(감척대상 선박 개조, 관광지 글귀홍보, SNS나 이벤트 활용, 유명 먹방컨텐츠 말미에 홍보영상 삽입)
④ 해양자원 보전과 증식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치어의 남획 방지 대책 수립
⑤ 환경변화에 대응(신규 어업기술 개발, 온난화 대비 국제적인 노력)
⑥ 인식전환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어업인 교육기관 확대
⑦ 지자체, 중앙부처의 어선 관리를 일원화.
⑧ 수산분야 인력·예산 증원
⑨ 어촌 종합계발 계획 확대
⑩ 지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 및 특화 상품 개발
⑪ 바다 쓰레기 수거 사업 확대
⑫ 해양쓰레기 관리 감시 부서 강화
⑬ 육지로부터 오염 물질 유입 규제·감시·감독제도 도입
⑭ 산업단지의 오염배출 무방류 원칙 도입 및 하천 생태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설 설치
⑮ 선박사고로 인한 기름유출의 체계적인 대응책 및 사고 예방 노력
⑯ 생분해성어구 개발·지원
⑰ 불법조업 처벌 강화

총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