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7월 13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으로 어떤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면 좋을 지에 대해
많은 의견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의견 정리>

1. 나무지팡이를 구비하여 노인분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음

2. 교통을 비롯하여 좋은 접근성이 좋아야 된다고 생각함

3. 실천방안, 운영주체, 협업기관 등을 보다 세심한 검토가 필요함

4. 마을 노인시설에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


앞으로도 많은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0/1000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노인성퇴행성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 및 산림 헬스 케어 국민 관심 유도
 
□ 추진배경
 
100세 시대를 맞아 치료보다 예방ㆍ관리중심의 국민적 관심 증가, 산림치유를 
    위해 숲을 찾는 이용수요가 증가

  - 산림치유프로그램 이용자수 : (‘18) 270 (‘19) 320천명, 전년대비 18.7%
 

□ 추진내용 및 방안
 
ㅇ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국민이 원하는 산림헬스케어프로그램 발굴, 운영
   - 국민디자인단에 퇴행성ㆍ노인성 질환자를 구성하여 치유프로그램 경험 및 만족도 조사 실시
 

(홍보방안) 운영과정별 진행상황을 온·오프라인으로 홍보
  - 발대식·회의 및 워크숍 결과를 정리하여 국민생각함 등 게재
    * 산림청 홈페이지, 개인SNS 등으로 제작하여 게시
  - 국민생각함 등과 같은 외부 게시공간을 적극 활용
    * 외부 의견을 청취하거나 게시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고정적으로 홍보
  - 우리 청 또는 유관기관의 박람회, 설명회 등에서 홍보
    * 대국민 서비스를 위해 추진·진행하는 다양한 홍보 공간을 활용
  - 보기 쉽고 알기 쉬운 홍보 디자인을 제작하여 홍보 활용
    * 인포그래픽 등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작하여 활용
 
□ 기대효과

ㅇ 수요자 맞춤형 산림헬스케어 프로그램 및 국민의료비 절감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노인성ㆍ퇴행성 질환자 대상 맞춤형 산림헬스케어 프로그램 제공

 
  지금까지는(AS-IS)   앞으로는(TO-BE)
• 현대의학을 통한 환경성ㆍ노인성 질환치료 • 다수의 산림치유 시설을 통한 환경성ㆍ노인성
  질환 예방 및 치유
• 노인성ㆍ퇴행성 질환자에 대한 프로그램 제공 • 수요자 만족도 심층분석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ㆍ제공
• 정기적인 홍보 및 재정 지원 •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을 통한 적극 홍보 및
  재정 지원 확대

총1명 참여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100세 시대 노인성, 퇴행성 질환자 대상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노인성퇴행성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 및 산림 헬스 케어 국민 관심 유도
 
□ 추진배경
 
100세 시대를 맞아 치료보다 예방ㆍ관리중심의 국민적 관심 증가, 산림치유를 
    위해 숲을 찾는 이용수요가 증가

  - 산림치유프로그램 이용자수 : (‘18) 270 (‘19) 320천명, 전년대비 18.7%
 
ㅇ 노인성ㆍ퇴행성 질환에 따른 의료비의 증가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 증가
  - 의료비 부담을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다 저렴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한 국민들의
     건강증진 필요

 
□ 추진내용 및 방안
 
ㅇ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국민이 원하는 산림헬스케어프로그램 발굴, 운영
   - 국민디자인단에 퇴행성ㆍ노인성 질환자를 구성하여 치유프로그램 경험 및 만족도 조사 실시
 
(운영계획 방안)  
   - 디자인단 발대식 및 회의(3)

   - 외부 전문가 자문(2)
   - 현장 및 이용자 실태조사(2)
   - 통합 워크숍(1)
 
(추진일정)
  - (사전준비 : 5월 초) 관련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인력풀 작성
    * 유관기관 담당자 및 학계 또는 관련 전문가 등으로 인력풀 구성
  - (디자인단 구성 : 5월 중) 구성·운영 기준에 따라 선정
    * 작성된 인력풀 중에서 본인 의향과 전공 분야를 감안하여 선정
  - (디자인단 운영 : 6월 말~8) 구성원 협의로 운영
    * 구성원 개인의 일정과 전체적인 추진일정을 감안하여 내부 협의로 결정·운영
  - (결과보고 : 8) 국민디자인단 운영 결과보고서 작성·제출
    * 전체적인 일정과 운영내용, 결과물 등 보고서 및 디자인 자료 작성·제출
 
(홍보방안) 운영과정별 진행상황을 온·오프라인으로 홍보
  - 발대식·회의 및 워크숍 결과를 정리하여 국민생각함 등 게재
    * 산림청 홈페이지, 개인SNS 등으로 제작하여 게시
  - 국민생각함 등과 같은 외부 게시공간을 적극 활용
    * 외부 의견을 청취하거나 게시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고정적으로 홍보
  - 우리 청 또는 유관기관의 박람회, 설명회 등에서 홍보
    * 대국민 서비스를 위해 추진·진행하는 다양한 홍보 공간을 활용
  - 보기 쉽고 알기 쉬운 홍보 디자인을 제작하여 홍보 활용
    * 인포그래픽 등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작하여 활용
 
□ 기대효과

ㅇ 수요자 맞춤형 산림헬스케어 프로그램 및 국민의료비 절감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노인성ㆍ퇴행성 질환자 대상 맞춤형 산림헬스케어 프로그램 제공

 
  지금까지는(AS-IS)   앞으로는(TO-BE)
• 현대의학을 통한 환경성ㆍ노인성 질환치료 • 다수의 산림치유 시설을 통한 환경성ㆍ노인성
  질환 예방 및 치유
• 노인성ㆍ퇴행성 질환자에 대한 프로그램 제공 • 수요자 만족도 심층분석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ㆍ제공
• 정기적인 홍보 및 재정 지원 •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을 통한 적극 홍보 및
  재정 지원 확대

총16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