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9월 21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기상청 국립기상과학관 활성화를 위해 전시시설 확충 및 다양화
이 생각은 "기상청 국립기상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의견수렴"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립기상과학관(대구, 전북, 밀양, 충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시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화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전시시설 다양화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으로는
기상관측장비를 이용한 기상관측 체험, VR을 이용해서 태풍이나 폭풍우 등의 위험기상 가상체험
등이 있었습니다.

이에, 기상청은 국민 의견을 참고하여
국립기상과학관 콘텐츠 확대 및 개선 등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1000
[기상청 기상서비스진흥국] 2022년 국민체감형 성과지표 설정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 기상서비스진흥국에서는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상서비스 구현’이라는 성과목표 달성을 위해
성과지표(안)을 마련하고 이를 국민에게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만들고자 합니다.

성과목표 및 관리과제, 성과지표(안)을 아래와 같이 공유드리니,
성과지표(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 부탁드립니다.

 
성과목표명: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상서비스 구현
 
관리과제1: 미래수요 기반의 기상시장 확대로 기상산업 성장 견인
◦ 신산업 수요대응 및 기상기업 성장지원을 통한 기상산업 확산
: ESG경영 지원을 위한 날씨경영, 우수 기상기업 육성, 기상기업 해외진출 지원 등
◦ 미래 기상수요 대응을 위한 첨단기술 기반 기상서비스 개발
: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화 지원기반 마련,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융합기술 개발 등 

성과지표(안)
< 1억원당 핵심기술 확보건수(건) >
: 유망기술 및 제품 개발 등의 기상산업 관련 지원정책을 통해 국내 기상기업의 산업재산권 확보를 유도하고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측정산식) (산업재산권 등록건수×1억원)/당해연도 지원비
 

관리과제2: 기상기후데이터 활용성 제고와 기상융합서비스 확산
◦ 사회현안 해결을 위한 기상융합서비스 개발 및 활용 확산
: 재생에너지 분야 기상지원체계 구축 기반 조성, 재난·안전 분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상융합서비스 개발 등
◦ 기상기후데이터의 국가·사회적 공동 활용 체계 구축
: 전세계 기상기후 관측·예측자료 수집·관리·공유 기반 구축, 사용자 친화적 자료제공 서비스(기상자료개방포털) 개선 등 

성과지표(안)
< 기상기후데이터 오픈API 서비스 제공 종수(개) >
: 민간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서비스 개발 노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측정산식) 행정안전부 및 기상청 개방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오픈 API 서비스 종류 수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활용도(건) >
: 기상과 타분야 빅데이터를 융합하여 사회·경제적 가치가 높은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해 개발한 기상융합서비스 실질적인
  활용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측정산식) 당해연도까지 공공이나 민간에서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를 활용한 누적 건수
 

총52명 참여
기상청 기상서비스진흥국의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설정을 위한 의견수렴을 진행합니다.

기상청 기상서비스진흥국에서는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상서비스 구현'이라는 성과목표 달성을 위해
성과지표(안)을 설정하고 이를 국민에게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만들고자 합니다.

성과목표 및 관리과제, 성과지표(안)을 아래와 같이 공유드리니,
성과지표(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 부탁드립니다.

 성과목표명: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상서비스 구현

 1. 관리과제명: 미래수요 기반의 기상시장 확대로 기상산업 성장 견인
  ○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 발달에 따른 새로운 기상서비스 수요에 대비한 날씨경영 확산
   - 기상정보를 기업경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 수립, 정보화시스템 구축 등 지원
   - 날씨경영에 대한 국민관심도 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 날씨경영: 기상정보를 기업경영에 활용하여 날씨로 인한 경영 손실을 줄이거나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
  ○ 기상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기상 관련 창업이나 기업의 성장 지원
  ○ 기상산업 분야 인력 양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 지원 

 [ 관리과제1의 성과지표(안) ]
  날씨경영우수기업 수
   : 
당해연도에 신규로 인증받은 날씨경영우수기업 수+당해연도에 인증을 갱신한 날씨경영우수기업 수
   * 날씨경영우수기업: 생산·기획·마케팅 등 기업경영의 다양한 분야에 날씨를 적용하여 기업의 이윤을 창출하거나
    기상재해로부터 안전성을 획득했다고 인정받은 기업(기관)

 2. 관리과제명: 기상기후데이터 활용성 제고와 기상융합서비스 확산
  ○ 디지털 뉴딜 구현을 위한 기상기후 데이터댐 조성 기반 마련
  ○ 국민 생활, 안전, 산업 중심의 사용자 중심의 기상기후데이터 서비스 제공
   - 활용성 높은 기상기후데이터 개방 확대(신규 오픈 API, 연관데이터 묶음 서비스 등)
   -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상기후데이터 서비스 제공(시·군 단위 기후평넌값 산출, 기상현상증명 대상지점·종류 확대 등) 
  ○ 국가 재난재해, 국민 안전과 연계된 기상융합서비스 개발과 활용 확대
   - (공공) 해양, 교통사고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과 다른 분야 자료를 융합한 새로운 공공서비스 개발
   - (민간) 기상정보 활용 유망기술 발굴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 민간기업 사업 활성화

 [ 관리과제2의 성과지표(안) ]
 기상기후데이터 오픈 API 서비스 제공 종수(개)
  : 공공데이터포털(
https://data.go.kr) 등을 통해 제공되는 당해연도 오픈 API 제공 종수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활용도(건)
  : ① 공공(정부부처, 지차체, 공공기관 등)분야에 기술이전, 업무협약 등으로 활용된 건수
     + ② 민간에 기술이전 또는 사업화 된 건수

총3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