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 효과적 모니터링 방법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 효과적 모니터링 방법』국민생각함
1. 추진 배경
- 해외 동물질병 유입 징후를 선제적 파악하여 국내 검역 및 방역정책에 활용하도록 해외 질병 발생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및 분석 추진
❍ 특히 중국·베트남 등 주변국에서 FMD, HPAI 및 ASF 등 해외 악성가축전염병의 발생시 국내에전염병의 유입 가능성 증가
2. 현황 및 문제점
(현황)위험평가과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각 국가가 보고하고 있는 질병상황을 매일 수집·분석하고 있으며, 국내외 포털 등에서 질병명 검색을 통하여 해외 동물질병 발생상황을 파악하고 있음
(문제점)
❍(정보 시의성)국가에 따라 OIE에 질병발생을 개별보고 없이 반기보고에 일괄보고하는 경우 실시간 발생동향의 파악이 어려움
*OIE에서 질병 상재국인 경우에는 발생건 별로 보고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등은 일부 악성 가축전염병의 상재국에 해당함
❍( 언어 ) 러시아, 아시아 등 주변국가에서의 사용언어와 관련하여 포털을 통해 검색가능한 정보에 한계가 있음
⇒ “국민생각함” 운영으로 해외 동물질병 정보에 대한 효과적인 모니터링 방법 대국민 아이디어를 공모·발굴하여 업무 추진에 활용 |
3. 향후 추진 계획
- 과제명 :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 효과적 모니터링 방법」 국민의견 수렴
- 추진 방법 : 복잡한 실명인증과 권한부여 과정 없이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번호로 가입· 의견개진이 가능한 “국민생각함” 활용
- 실시 기간 : 2020.9.14.~ 10.4.(21일간)
- 추진 단계 : 생각의 탄생 → 생각의 발전 → 생각의 완성
❍ (1단계) 생각의 탄생(대화) : ‘20.9.14.~9.21.(8일)
-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의 효과적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대국민 의견 수렴
❍ (2단계) 생각의 발전(투표) : ‘20.9.22~9.27.(6일)
- 생각의 탄생을 통해 수렴된 의견 중 5개의 모니터링 방법 선정 및 순위정하기
❍ (3단계) 생각의 완성 : ‘20.9.28.~10.4.(7일)
- 생각의 탄생·발전을 통해 도출된 결과 정리
- 선정된 모니터링 방법 및 순위 등을 정리하여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 모니터링에 활용
4. 기대효과
❍ 신속한 해외 동물질병 발생 정보수집·분석을 통해 선제적인 검역 및 방역 정책 수립에 기여
-------------------------------------------------------------------------------------------------------------------------------
해외 동물질병 발생정보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Q. 해외동물질병 발생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