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8월 21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기상기후 연구성과 실용화를 위한 국립기상과학원의 역할?
홍보 및 안내 방법 개선
- 과학원 소개, 연구성과, 개선사항 등에 대해 동영상, SNS 활용한 확산
- 제공 자료에 대한 설명(파일 형식, 사용법 등)
- 홈페이지와 함께 유튜브, SNS 등에 기상콘텐츠 소개(앱 개발, 웹진, 카드뉴스 등)
- 어린이 교육자료 배포
- 전국 지자체 자원 활용한 홍보 공간 마련(개발 장비 및 R&D 성과 전시)
- 온·오프라인 기상인문학 강좌 개설
- 기상정보 공유 사례 보급
-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콘텐츠 개발
- 방문·견학 프로그램 마련
- 제공 자료의 시각화

심화정보 제공
- 현재 기상현상의 원인, 대처방법, 지속시간 등
- 해외 기상·기후 정보 및 국가간 협력 현황

기타
- 우수직원 보상안 마련(성과제도, 인센티브 도입 등)
- 기관 및 기업과의 소통·협력 시도 필요(자료 제공 및 처리 시스템 구축 등)
- 날씨누리 홈페이지 개선
0/1000
기상기후 연구성과 실용화를 위한 국립기상과학원의 역할?

[자료이용] 연구자료 제공요소에 대한 안내는 충분합니까? 파일 형식, 해석 등 사용상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자료전달] 자료의 생산으로부터 최종 고객전달 과정까지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현재의 과정에서 개선할 점은 무엇입니까?
[기타] 기상청 업무지원과 기관의 우수성과 창출 동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립기상과학원이 노력해야 할 점은?

 ❍ 자료이용 및 전달
   - 궁금증 해결에 용이한 접근 수단 마련
   - 다양한 형식의 자료 제공
   - 과학원 제공 자료 홈페이지 마련(웹상에서의 자료 신청 및 다운로드)
   - 제공 자료 이용 매뉴얼 개선(동영상 등 첨부)
   - 오프라인 제공 자료 현황 홍보
   - 홈페이지 상에 부서 및 직원의 상세 업무 표시(누가 어떤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지)
   - 제공 자료의 이미지 샘플 혹은 예시 파일 시각화

 ❍ 국립기상과학원의 노력
   - 국민 및 아이들을 위한 기후변화와 그 영향 교육자료 작성 및 배포
   - 실무 중심의 연구기관으로 발전하려는 노력 필요
   - 부처간 기후 관련 협력업무에서의 주도권 확보
   - 실무중심, 관측 데이타처리 예보, 통보의 과학화 선진화, 국산화를 핵심목표로 하고 장기목표 수립
   - 실용적 연구개발 사업 발굴 및 수행
   - R&D 수행 예상 결과 개방 및 적극 홍보
   - 우수직원 보상을 위한 성과제도 도입
   - 기술이전 확대 및 기술사업화 R&D 예산 지원, 원천기술 보유자 지원
   - 지원업무의 성과화

  ※ 본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분을 추첨하여,
     코로나19경제 및 지역내수 활성화를 위한 온누리 상품권 1만원권을 보내드립니다.

총4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