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8월 21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립기상과학원 서비스 개선 아이디어를 모집합니다!
SNS 활성화, 앱개발 등 온라인 소통
- SNS(카카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유튜브, 통신사 연계 등 활용한 홍보로 인지도 제고
- 홍보 강화가 필요한 기상요소: 강풍, 폭우, 폭설, 안개, 블랙아이스, 열대야
- 날씨알리미 앱의 신속한 업데이트
- 날씨예측게임 콘테스트 실시로 참여 및 관심 확대
-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만화) 제작

국민과의 오프라인 접점 확대
- 기상과학관 콘텐츠 추가(이상기후, 폭염과 폭우,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연구성과)
- 기상 분야 관련 대학교/지역센터 설립
- 기관 견학 콘텐츠 다양화
- 가족이 참여 가능한 체험프로그램
- 포럼, 공청회 등 일반인 참여·소통 창구 마련

상세정보 제공 및 연구
- 빅데이터 활용한 개인 맞춤형 정보, 연구결과로 인한 성과 제공
- 다양한 기상요소(미세먼지, 소나기, 지구온난화/한반도 기후, 자외선, 황사, 폭염, 열대야, 블랙아이스)의 상세정보(시·공간, 리드타임, 이해하기 쉽게) 제공
- 예보정보에 기상현상의 발생원인 함께 표시
- 기상현상의 영향 정보 제공

기타
- 기획단계부터 실용화 고려
- 국제협력(공동연구), 세미나 개최 등 활성화
- 외국 기상서비스 시스템과 우리나라 시스템의 비교 분석
- 기상자료 활용한 수입 창출과 재투자
0/1000
기상기후 연구성과 실용화를 위한 국립기상과학원의 역할?

[자료이용] 연구자료 제공요소에 대한 안내는 충분합니까? 파일 형식, 해석 등 사용상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자료전달] 자료의 생산으로부터 최종 고객전달 과정까지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현재의 과정에서 개선할 점은 무엇입니까?
[기타] 기상청 업무지원과 기관의 우수성과 창출 동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립기상과학원이 노력해야 할 점은?

 ❍ 자료이용 및 전달
   - 궁금증 해결에 용이한 접근 수단 마련
   - 다양한 형식의 자료 제공
   - 과학원 제공 자료 홈페이지 마련(웹상에서의 자료 신청 및 다운로드)
   - 제공 자료 이용 매뉴얼 개선(동영상 등 첨부)
   - 오프라인 제공 자료 현황 홍보
   - 홈페이지 상에 부서 및 직원의 상세 업무 표시(누가 어떤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지)
   - 제공 자료의 이미지 샘플 혹은 예시 파일 시각화

 ❍ 국립기상과학원의 노력
   - 국민 및 아이들을 위한 기후변화와 그 영향 교육자료 작성 및 배포
   - 실무 중심의 연구기관으로 발전하려는 노력 필요
   - 부처간 기후 관련 협력업무에서의 주도권 확보
   - 실무중심, 관측 데이타처리 예보, 통보의 과학화 선진화, 국산화를 핵심목표로 하고 장기목표 수립
   - 실용적 연구개발 사업 발굴 및 수행
   - R&D 수행 예상 결과 개방 및 적극 홍보
   - 우수직원 보상을 위한 성과제도 도입
   - 기술이전 확대 및 기술사업화 R&D 예산 지원, 원천기술 보유자 지원
   - 지원업무의 성과화

  ※ 본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분을 추첨하여,
     코로나19경제 및 지역내수 활성화를 위한 온누리 상품권 1만원권을 보내드립니다.

총4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