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8월 12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위촉직 여성참여율
붙 임   2019년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여성참여 현황
위촉직 여성참여율의 평균 여성위원/전체위원이 아닌 위원회별 여성 참여율 값들의 평균임
구분 전체
위원회 수()
여성위원 40%
이상 위원회 ()
여성위원 40%
이상 위원회 비율 (%)
전체위원() 여성위원() 평균 위촉직
여성참여율(%)
전체 17,746 11,940 67.3% 182,800 71,971 41.4%
시도(17) 2,249 1,903 84.6% 36,113 14,467 44.9%
시군구(226) 15,497 10,037 64.8% 146,687 57,504 40.8%
서울특별시 2,149 1,523 70.9% 23,526 10,302 45.5%
광역 147 116 78.9% 3,820 1,584 44.5%
기초 2,002 1,407 70.3% 19,706 8,718 45.5%
부산광역시
1,064 763 71.7% 10,767 4,410 43.9%
광역 168 128 76.2% 2,655 997 42.9%
기초 896 635 70.9% 8,112 3,413 44.0%
대구광역시
550 445 80.9% 5,871 2,465 45.9%
광역 125 111 88.8% 1,811 750 44.6%
기초 425 334 78.6% 4,060 1,715 46.3%
인천광역시
832 592 71.2% 9,408 4,089 43.3%
광역 164 155 94.5% 2,786 1,216 47.2%
기초 668 437 65.4% 6,622 2,873 42.3%
광주광역시
492 336 68.3% 5,252 2,025 41.7%
광역 117 82 70.1% 1,854 648 42.1%
기초 375 254 67.7% 3,398 1,377 41.6%
대전광역시
518 389 75.1% 5,534 2,349 44.2%
광역 155 118 76.1% 2,229 879 44.0%
기초 363 271 74.7% 3,305 1,470 44.4%
울산광역시
458 310 67.7% 5,066 1,964 41.2%
광역 99 80 80.8% 1,404 560 45.2%
기초 359 230 64.1% 3,662 1,404 40.1%
세종특별자치시
121 103 85.1% 1,728 716 45.8%
광역 121 103 85.1% 1,728 716 45.8%
경기도
2,832 1,879 66.3% 31,093 12,334 41.8%
광역 189 154 81.5% 3,043 1,269 46.3%
기초 2,643 1,725 65.3% 28,050 11,065 41.4%
강원도
1,189 658 55.3% 10,905 3,832 36.6%
광역 118 104 88.1% 1,751 693 44.2%
기초 1,071 554 51.7% 9,154 3,139 35.8%
충청북도
930 686 73.8% 8,994 3,612 43.2%
광역 120 107 89.2% 1,919 750 45.7%
기초 810 579 71.5% 7,075 2,862 42.8%
충청남도
1,270 835 65.7% 12,357 4,652 39.7%
광역 127 113 89.0% 1,929 747 44.9%
기초 1,143 722 63.2% 10,428 3,905 39.1%
전라북도
992 635 64.0% 9,375 3,381 39.2%
광역 111 106 95.5% 1,526 638 46.0%
기초 881 529 60.0% 7,849 2,743 38.3%
전라남도
1,480 964 65.1% 14,436 5,369 39.4%
광역 108 102 94.4% 1,807 745 47.3%
기초 1,372 862 62.8% 12,629 4,624 38.8%
1,383 823 59.5% 12,552 4,419 37.6%
경상북도
광역 92 75 81.5% 1,535 572 43.2%
기초 1,291 748 57.9% 11,017 3,847 37.2%
1,323 856 64.7% 13,626 5,110 39.1%
경상남도
광역 125 106 84.8% 2,006 761 44.1%
기초 1,198 750 62.6% 11,620 4,349 38.6%
제주특별자치도
163 143 87.7% 2,310 942 44.3%
광역 163 143 87.7% 2,310 942 44.3%
 
0/1000
아카이브814 도메인 주소 (위안부 자료제공)

(주소) http://www.archive814.or.kr
메인 페이지 및 메뉴구성

<아카이브814 메뉴 구성>
(아카이브) 일본군위안부관련 1차 자료 제공
(컬렉션) 주제별로 자료를 엮어 위안부자료 및 위안부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제공
(연표) 일본군위안부련 주요사건의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 연표에 연결된 기록물 선택 시, 해당 자료 원문 연동 기능을 통해 바로 확인 가능
(자료센터) 연구소 자료센터에 소장된 총 2,732건의 단행본, 정기간행물 등을 검색

 
주요 메뉴 구성 체계
 
자료센터 : 연구소가 수집한 위안부관련 국내외 도서, 정기간행물, 잡지류를 직접 열람할 수 있는 곳(9월 개관 예정)으로 소장자료 목록 검색 가능
 

총1명 참여
여성가족부,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운영 지역 공모(8.13.~8.26.)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개요
 
추진 목적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부모 외의 주민도 참여하는 돌봄친화적 지역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 자원의 활용성 강화 및 지역 사회 활성화 도모
 
사업 개요
 
(지원 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등 12개 지역
(지원 방식) 지자체 공모 (운영기관+돌봄공동체 협업)
(추진 체계)
여성가족부 사업 총괄
   
총괄 관리운영 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컨설팅교육 지원, 네트워크 연계 지원, 모니터링
돌봄 공동체 모델 개발 연구, 매뉴얼 개발 등
   
지자체 사업 운영·집행·정산
돌봄공동체 발굴 및 운영 지원, 지역 돌봄자원 연계 등
   
운영 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돌봄 공동체 발굴·육성
돌봄 활동 운영 지원, 돌봄 장소 발굴·연계,지역 맞춤형 활동 연계 등
  협업  
돌봄공동체 공동체 운영 및 돌봄 활동 실시
 
(지원 내용) 돌봄 활동비, 전문가 컨설팅교육네트워킹 등
(소요 예산) 690백만 원
* 총괄 관리 운영기관 240백만원(민간경상보조)
* 돌봄 공동체 활동 지원 450백만원 (지역당 75백만원, 국비보조50%)
< 돌봄공동체 모형 >
 
(공동체구성) 부녀회, 경로회, 마을 청년 등으로 구성되어 틈새돌봄, 공동체성, 주민주도, 지속가능성이 있는 지역 주민 공동체
(공동체유형) 부모자조모임 품앗이형’, 마을 커뮤니티 공간 기반 주민모임 마을 공동체형및 비영리 법인 단체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대상) 012
(운영 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간에 따라 주중/주말 자유롭게 운영
(장 소) 공동육아나눔터, 작은도서관, 경로당, 마을회관, 아파트 유휴 공간, 체험학습장 등
* 지역 주민이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민 생활문화 공간 발굴
(돌봄 활동) 학습놀이체험, 등하교 지원, 급식 지원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돌봄 공동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2021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지역을 813()부터 826()까지 공개모집 합니다.

이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셔요^^
 

총0명 참여
'부산 서구 가족센터' 개관(가족 돌봄과 상담, 재취업 교육을 한 곳에서 통합지원)

    부산서구 가족센터 개요
 
(소재지) 부산 광역시 서구 구덕로 127(토성동556-4번지 일대)
 
(규모) 지하2~지상7
대지 면적 779.8, 건축면적 584.06/연면적 4,589.6(전용 + 공용)
 
(건립기간) 2017~2019
 
(입주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동육아나눔터, 여성새로 일하기센터, 건강관리센터, 치매안심센터 등
 
 
[부산 서구 가족센터 층별 공간 구성 현황]
 
시설 지원 내용 운영시기
1 카페 및 가족도서관   7.6.~
2 건강관리센터 금연 클리닉, 아토피천식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가족단위 건강관리 지원 2.24.~
3 공동육아나눔터 이웃과 함께 자녀를 돌보는 공간 제공 접수 중
4 치매안심센터 치매 예방, 상담등록 및 전담 코디네이터 매칭, 치매환자 가족 힐링카페 2.28.~
5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취업상담, 맞춤형 취업 정보 제공, 직업교육훈련 운영 등 2.24.~
6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자녀돌봄, 가족상담, 부모교육 서비스 등 6.29.~
7 다목적홀, 가족연회실 행사 개최 및 장소 제공  
지하1~2 기계실 및 주차장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감안하여 개소 후 비대면 또는 소그룹 프로그램 운영 중
 
지역 주민들이 한 공간에서 가족 돌봄과 상담,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과 건강 등 다양한 가족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부산 서구 가족센터 2020년 724() 개관하였습니다.

국민여러분의 많은 이용 및 의견 부탁드립니다.
 

총0명 참여
여성가족부,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운영 지역 공모(8.13.~8.26.)

    2021년 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 개요
 
추진 목적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부모 외의 주민도 참여하는 돌봄친화적 지역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 자원의 활용성 강화 및 지역 사회 활성화 도모
 
사업 개요
 
(지원 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등 12개 지역
(지원 방식) 지자체 공모 (운영기관+돌봄공동체 협업)
(추진 체계)
여성가족부 사업 총괄
   
총괄 관리운영 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컨설팅교육 지원, 네트워크 연계 지원, 모니터링
돌봄 공동체 모델 개발 연구, 매뉴얼 개발 등
   
지자체 사업 운영·집행·정산
돌봄공동체 발굴 및 운영 지원, 지역 돌봄자원 연계 등
   
운영 기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돌봄 공동체 발굴·육성
돌봄 활동 운영 지원, 돌봄 장소 발굴·연계,지역 맞춤형 활동 연계 등
  협업  
돌봄공동체 공동체 운영 및 돌봄 활동 실시
 
(지원 내용) 돌봄 활동비, 전문가 컨설팅교육네트워킹 등
(소요 예산) 690백만 원
* 총괄 관리 운영기관 240백만원(민간경상보조)
* 돌봄 공동체 활동 지원 450백만원 (지역당 75백만원, 국비보조50%)
< 돌봄공동체 모형 >
 
(공동체구성) 부녀회, 경로회, 마을 청년 등으로 구성되어 틈새돌봄, 공동체성, 주민주도, 지속가능성이 있는 지역 주민 공동체
(공동체유형) 부모자조모임 품앗이형’, 마을 커뮤니티 공간 기반 주민모임 마을 공동체형및 비영리 법인 단체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대상) 012
(운영 시간) 지역별·구성원별 틈새 돌봄 시간에 따라 주중/주말 자유롭게 운영
(장 소) 공동육아나눔터, 작은도서관, 경로당, 마을회관, 아파트 유휴 공간, 체험학습장 등
* 지역 주민이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민 생활문화 공간 발굴
(돌봄 활동) 학습놀이체험, 등하교 지원, 급식 지원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돌봄 공동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해 ‘2021돌봄 공동체 지원 사업지역을 813()부터 826()까지 공개모집 합니다.

이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셔요^^
 

총1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