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3월 24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의식,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무형유산의 기예능을 전승하는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보유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ㅇ 공통교육
  - 신규 이수자 교육 
  -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1,2

ㅇ 공예 분야
 - 전통공예 창의적 사고 확장 워크숍 
 - 전통공예 창의공방 활용연구과정 
 - 전통공예 창의공방 레지던시
 - 전통공예 복원연구 과정(2020년 폐지)

ㅇ 예능 분야
 - 전통공연예술 실무자 입문과정[기초]
 - 전통공연예술 실무 전문가과정[심화]
 - 예능풍류방 레지던시(2020년 신설)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승자에게 꼭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에 국민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습니다. 



                                                 무형문화재 전승 체제
'전승교육사(현 전수교육조교)'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20.12.10. 시행 예정) 개정안에 따라 독자적 교육 권한을 가짐.


1. 추진배경
ㅇ 국립무형유산원이 실시하는 무형문화재 전승자 교육(예능, 공예 분야)의 운영 현황(2014~현재)을 점검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진단
ㅇ 향후 보다 실효성 높은 전승자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모색
ㅇ 전승자 교육에 관한 국내외 유사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 무형유산원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적용

2. 과업 내용
무형유산 전승자 교육 과정의 방향성 검토
전승자 대상 교육 체계의 문제점 파악 및 대안 제시
전승자 교육 프로그램별 개선방안, 프로그램 제안
국내 유사사례 및 해외 사례

  
"전승자 교육의 방향"과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한 아이디어, 사례, 참여후기를 듣습니다.
특히 새로 개정되는 법률안의 내용과 관련하여 전승자 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 바랍니다.  


 
0/1000
무형유산 전승자 대상 교육(예능,공예 분야) 개선방안

코로나19로 일상이 마비되어 가는 요즘 안녕하신지요?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의식,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무형유산의 기예능을 전승하는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보유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ㅇ 공통교육
  - 신규 이수자 교육 
  -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1,2

ㅇ 공예 분야
 - 전통공예 창의적 사고 확장 워크숍 
 - 전통공예 창의공방 활용연구과정 
 - 전통공예 창의공방 레지던시
 - 전통공예 복원연구 과정(2020년 폐지)

ㅇ 예능 분야
 - 전통공연예술 실무자 입문과정[기초]
 - 전통공연예술 실무 전문가과정[심화]
 - 예능풍류방 레지던시(2020년 신설)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승자에게 꼭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에 국민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습니다. 

1. 추진배경
ㅇ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하는 무형문화재 전승자 교육(예능, 공예 분야)의 운영 현황(2014~현재)을 점검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진단
ㅇ 향후 보다 실효성 높은 전승자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모색
ㅇ 전승자 교육에 관한 국내외 유사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 무형유산원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적용

2. 과업 내용
무형유산 전승자 교육 과정의 방향성 검토
전승자 대상 교육 체계의 문제점 파악 및 대안 제시
전승자 교육 프로그램별 개선방안, 프로그램 제안
국내 유사사례 및 해외 사례

  
"전승자 교육의 방향"과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한 아이디어와 사례, 참여후기를 듣습니다.
특히 무형유산원 전문교육 참여자나 전승 현장에 종사하는 분들의 많은 의견 바랍니다.




 

총11명 참여
무형유산 전승자 대상 교육(예능,공예 분야) 개선방안

코로나19로 일상이 마비되어 가는 요즘 안녕하신지요?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의식,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무형유산의 기예능을 전승하는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보유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ㅇ 공통교육
  - 신규 이수자 교육 
  -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1,2

ㅇ 공예 분야
 - 전통공예 창의적 사고 확장 워크숍 
 - 전통공예 창의공방 활용연구과정 
 - 전통공예 창의공방 레지던시
 - 전통공예 복원연구 과정(2020년 폐지)

ㅇ 예능 분야
 - 전통공연예술 실무자 입문과정[기초]
 - 전통공연예술 실무 전문가과정[심화]
 - 예능풍류방 레지던시(2020년 신설)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승자에게 꼭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에 국민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습니다. 

1. 추진배경
ㅇ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하는 무형문화재 전승자 교육(예능, 공예 분야)의 운영 현황(2014~현재)을 점검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진단
ㅇ 향후 보다 실효성 높은 전승자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모색
ㅇ 전승자 교육에 관한 국내외 유사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 무형유산원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적용

2. 과업 내용
무형유산 전승자 교육 과정의 방향성 검토
전승자 대상 교육 체계의 문제점 파악 및 대안 제시
전승자 교육 프로그램별 개선방안, 프로그램 제안
국내 유사사례 및 해외 사례

  
"전승자 교육의 방향"과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한 아이디어와 사례, 참여후기를 듣습니다.
특히 무형유산원 전문교육 참여자나 전승 현장에 종사하는 분들의 많은 의견 바랍니다.




 

총3명 참여
무형유산 전승자 대상 교육(예능분야, 공예분야)의 개선방안

코로나19로 일상이 마비되어 가는 요즘 안녕하신지요?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의식,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무형유산의 기예능을 전승하는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신규 이수자 교육>, <전수교육 교수역량강화1,2>로 전문강사를 양성하는 한편, 공예 분야에서는 <창의적 사고 확장 워크숍>, <창의공방 활용연구과정> <창의공방 레지던시>를, 예능 분야에서는 <전통공연예술 실무자 입문과정>, <전공공연예술 실무 전문가과정>, <예능풍류방 레지던시>를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승자에게 꼭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에 국민 여러분들의 의견을 공모합니다. 

1. 추진배경
ㅇ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하는 무형문화재 전승자 교육(예능, 공예 분야)의 운영 현황(2014~현재)을 점검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진단
ㅇ 향후 보다 실효성 높은 전승자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 전승자 교육체계에서 과제를 도출하여 개선방안 모색
ㅇ 전승자 교육에 관한 국내외 유사 운영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 무형유산원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적용

2. 과업 내용

. 무형유산 전승자 교육 과정의 현황 분석 및 방향성 진단
. 전승자 대상 교육 체계의 문제점 파악 및 대안 제시
. 전승자 교육 프로그램별 개선방안, 프로그램 제안
. 국내 유사사례 및 해외 사례 검토
  
"전승자 교육의 방향"과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이 필요한 교육"에 대해서 국민, 특히 전승 현장에 종사하는 분들의 많은 의견 바랍니다.

총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