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7월 09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광주지방기상청 체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 방안
1. 광주지방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기상과학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알고 계신가요?
- 광주지방기상청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3%이며, 37%모른다고 응답함.
2. 
위 프로그램은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었나요?
-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경로는 지인소개3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NS’ 20%, 기상청 홈페이지’ 17%, 방문 경험’ 14%, ‘방송·신문’ 6%, ‘기타’ 6% 순으로 나타남
3. 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면, 프로그램을 통해 알고 싶은 내용은 무엇인가요?
-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 내용은 기상과학’ 28%, 기후변화’ 28%의 동일한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상청 업무’ 20%, ‘지진·화산’ 17%, ‘기상역사‘ 7% 순으로 나타남.
4.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귀하가 생각하는 가장 적당한 운영시간은 무엇인가요?
- 프로그램(대면)의 적당한 운영시간을 조사한 결과 ‘1시간53%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견학위주)’ 26%, ‘1시간30’ 16%, ‘2시간 5% 순으로 나타남.
5. 기후변화 이해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에는 기상교구재 만들기게임·퀴즈34% 동일한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영상 시청’ 21%, ‘강의’ 11% 순으로 나타남.
6.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 감염병 예방을 위해 비대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참여할 의향이 있다라는 응답이 87%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13% 참여할 의향이 없다에 응답함.
7.
비대면 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방법 중 참여하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가요?
- 원하는 비대면 방식을 조사한 결과 실시간 강의’ 49%, ‘업로드 영상 시청’ 49%의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기타2%가 응답함.
8. 비대면 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면, 귀하가 생각하는 가장 적당한 운영시간은 무엇인가요?
- 비대면 프로그램의 적당한 운영시간을 조사한 결과 ‘30’57%, ‘20’ 24%, ‘15분 이내’ 16%, ‘1시간 이상’ 3% 순으로 응답함.
9. 광주지방기상청 체험학습 프로그램 및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0/1000
광주지방기상청 기후변화과학 이해확산 운영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광주지방기상청에서는 기후변화 인식 제고를 위해 온오프라인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본 설문조사는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과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와 현재 광주지방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기후변화과학 이해확산 프로그램의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보다 나은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잠시 시간을 내주시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응답해 주신 모든 내용은 통계법 제33(비밀의 보호)에 의해 비밀이 보장됨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광주지방기상청 기후변화과학 프로그램 소개
(기상기후 사진 및 영상전) 세계기상의 날을 기념하고 기상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입상작으로 매년 전시회 운영
(기상기후정보 카드뉴스) 기상기후변화에 대한 국민의 쉬운 이해와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하고자 홈페이지, 페이스북, 블로그 등을 통한 공유
(기상기후정보지 제공) 가뭄재해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광주·전남지역 기상가뭄정보지 및 선제기후정보, 기상전망 제공과 지역 특성에 맞는 한눈에 보는 우리지역 기상기후정보지를 관련기관에 제공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바로알기 캠페인) 기후변화과학에 대한 이해확산과 생활 속 실천문화를 활성화하고자 챌린지 방식의 온라인 캠페인 운영
(맞춤형 기후기록 이벤트) 지역민들에게 국가기상업무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상기후서비스 체감만족도 향상을 위한 국민 소통 프로그램으로 추억의 사진과 당시의 기후정보를 포함한 사진 제공 이벤트 운영
(탄소중립으로 가는길, 1.5도시) 탄소중립사회 실현 및 기후변화 대국민 인식확산을 위해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관련기관을 체험하고 기후행동 실천 및 온라인 확산을 통해 탄소중립 생활 실천 문화 학산 프로그램
(체험학습 프로그램)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상 및 기후변화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온오프라인으로 운영(날씨꿈나무 체험교실, 진로코칭 프로그램, 탄소중립 중점·시범학교 교육)
 

총68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