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6월 18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아동학대 피해아동 보호명령제도 개정을 위한 다양한 의견수렴
이 생각은 "아동학대 피해아동 보호명령제도 개정"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아동학대가 근절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아동학대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아동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법률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가정을 보호 한다는 명목하에 아동학대의 가해자를 보호해주고 있는 상황이 너무 안타깝고, 하루빨리 법이 바뀌어 아동학대를 당하는 아이들이 피해받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사회와 정부의 적극 개입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도 지속적으로 관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는 자녀를 자신의 소유로 생각하면안되고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생각해야 합니다.
아동학대가 근절될 수 있도록 위 취지를 살린 제도가 하루빨리 시행되기를 다들 바라는 만큼 이번 사건을 계기로 조금이나마 달라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0/1000
아동학대 피해아동 보호명령제도 개정

얼마 전 천안에서 의붓어머니에 의해 7시간 동안 여행용 가방에 갇혔던 9살 초등학생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한달 전쯤 어린이날, 피해 아동이 머리를 다쳐 경찰조사를 받았지만, 의붓어머니의 "달라지겠다."라는 반성 다짐으로 풀려났습니다. 피해 아동에 대한 병원의 학대 의심 신고를 받고도 경찰은 대면 진술 조사를 진행하지 않았고, 아동보호기관에 통보만 한 뒤 가정방문 조사에도 참여하지 않은 채 "학대 피해가 심하지 않은 것 같다."는 아동보호기관의 의견과 병원에 찍어 보낸 손목과 손등 상흔 사진만을 토대로 피해 아동을 가해 보호자와 빨리 분리하지 않았습니다.

미국의 경우 아동학대를 심각한 범죄로 보고 학대가 일어난 가정에 대해 법원의 즉결심판을 통한 강제명령으로 학대 부모와 피해 아동을 즉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학대가 의심된다고 해서 기관이 아이를 당장 분리 보호할 수 없고, 부모가 학대할 것이 뻔히 보여도 친권을 행사하거나, 판단력이 미약한 상태의 어린아이가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하면 경찰과 아동보호기관은 아이를 폭력 가정으로 다시 돌려보낼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는 부모와 살아야한다는 사회적 고정 관념 때문에 법상 아동보호전문기관이 법원에 친권 상실 청구를 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 가정보호 주의의 일률적 적용 폐지를 통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지 못하고 도망칠 곳도 없이 무방비로 학대당하는 아이들에게 사회와 정부가 적극 개입하여 가정과 유사한 보호기관을 마련해 사회적 안전망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아동학대 피해아동 보호명령제도의 개정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동학대가 근절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제도적인 보완으로 학대 사건이 발생할 경우 피해 아동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총36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