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2월 17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재활용사업자 육성자금 융자지원계획 공고 및 심사결과
이 생각은 "재활용사업자 육성자금 융자지원계획 공고"에서 출발하였습니다.

□ 주요내용
 심사개요
심사근거 : 서울특별시 쓰레기줄이기와 자원재활용의 촉진에 관한 조례 제4조의2와 같은 조례 시행규칙 제8조의 규정에 의하여
                         재활용사업자육성 자금 융자 지원.심의

심사기간 : ’20. 4. 29.(수) ~ 5. 4.(월)
심사방법 : 서면심사
심사위원 : 위원장(대기기획관) 외 위원 6인
심사대상 : 7개 업체, 1,230백만원(시설 680백만원, 운전 550백만원)
※ 2020년 재활용사업자 육성자금 융자 자금규모 600백만원
○ 심사안건 : 융자대상 및 지원금액 결정
공고부서 : 자원순환과 2133- 3687
 

심사결과
최종 융자대상 및 지원금액 결정 : 4개 업체, 600백만원

□ 의견제출

서울특별시 쓰레기줄이기와 자원재활용의 촉진에 많은 진전이 있기를 희망함.
0/1000
서울수복 자료 대국민 공모전

한국전쟁 서울수복의 모습을 찾습니다. 서울수복 자료 대국민 공모전 서울수복 제70주년을 맞아 한국전쟁 당시 서울의 모든 모습을 찾습니다. 잊지말아야 할 그 때의 자료를 후세에 물려줄 당신을 기다립니다.서울수복 자료 대국민 공모전
한국전쟁 서울수복의 모습을 찾습니다. 서울수복 자료 대국민 공모전 서울수복 제70주년을 맞아 한국전쟁 당시 서울의 모든 모습을 찾습니다. 잊지말아야 할 그 때의 자료를 후세에 물려줄 당신을 기다립니다.
응모분야
시민안보 
응모기간
2020-06-29 ~ 2020-08-14 
조회수
1,483 
응모대상
서울수복 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 또는 단체 
결과발표
2020.09.1  
주최
서울특별시 
문의
민방위담당관(02-2133-4524/civildefence@seoul.go.kr) 
홈페이지 - http://mediahub.seoul.go.kr/gongmo/1287020
http://mediahub.seoul.go.kr
첨부파일
http://서울수복 자료 대국민 공모전 신청서

총1명 참여
서울시-한국철도, 서울역 노숙인에 일자리 제공…자활 이끈다

서울시-한국철도, 서울역 노숙인에 일자리 제공…자활 이끈다


□ 서울시는 5일(금) 오후 3시 한국철도 서울역 4층 별실에서 노숙인 일자리창출 활성화를 위해 한국철도,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식에는 정진우 서울시 복지기획관과 한국철도 서울역 이규영 역장,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허용구 센터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다.

□ 서울시 정진우 복지기획관은 “한국철도에서 서울역 등 밀집지역에 있는 노숙인들의 자활을 위해 일자리를 마련해 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더 어려운 여건에 있는 노숙인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일자리 마련과 자활 지원을 위해 한국철도,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등 유관기관과 지속하여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규영 한국철도 서울역장은 “지난 8년간 서울시,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추진했던 노숙인 자활사업을 통해 ‘서울역 광장에서 지내는 노숙인들도 자활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주변 환경미화 등 충분히 시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앞으로도 노숙인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여 서울역을 더 쾌적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총3명 참여
제11회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설명회 안내

제11회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설명회 안내
 
제11회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은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업방식(모델) 및 미래 도시재생형 주거형태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서울형 도시재생 예비전문가를 육성하고자
매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공모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을만들기 및 공동체 활성화’ 2개 부문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2020년 6월 30일(화) 서울신청사 8층 다목적홀에서 설명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B9EA3C5588EFF1CB03E8054722D5B897_1
 
☞ 공모전 홈페이지: http://buildtownseoul.net/
  • 담당부서 주거환경개선과-주거환경행정팀
  • 문의 02-2133-7245

총2명 참여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전면설치로 통신기본권 보장… 5개 시범자치구 선정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전면설치로 통신기본권 보장… 5개 시범자치구


□ 서울시는 세계 최초로 공공생활권 전역 공공와이파이 제공을 목표로 추진중인 ‘스마트서울 네트워크(S-Net)’ 구축 사업의 1차 사업대상으로 성동구, 도봉구, 은평구, 강서구, 구로구 등 5개 자치구를 최종 선정했다고 6월 10일 밝혔다.
○ 서울 전역 공공와이파이 확대는 서울시가 시민들의 통신기본권 전면 보장과 미래 스마트도시 기반인프라 확보를 골자로 작년 10월 발표한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추진계획의 핵심이다.
○ 공공생활권역은 7개 지목(도로, 공원, 사적지, 수도용지, 체육용지, 주차장, 유원지) 가운데 구체적으로 역사주변, 공원, 광장, 전통시장, 관광시설, 주요거리, 버스정류소, 하천 등을 의미한다.
□ 시는 성동구에 39억원, 은평구에 33억원, 강서구에 36억원, 구로구에 17억원, 도봉구에 16억원 등 시비 총 140억원을 투입하여 광통신망 332㎞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공공 와이파이 장비(AP) 1,680대를 추가 구축할 예정이다.
□ 시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진행된 자치구별 실시설계를 바탕으로 공공 와이파이 구축의 필요성 및 시급성, 강·남북 불균형 해소, 자치구의 재정여건과 추진의지, 정보격차해소 기대효과 등을 고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서울 네트워크(S-Net) 자문위원회를 거쳐 1차 시범사업 대상 5개 자치구를 최종 선정했다.
○ 시는 장애인, 어르신,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 인구수, 기준재정수요충족도, 자치구별 실시설계 결과와 인력여건 등을 분석하고 업의 필요성 및 시급성, 자치구의 추진의지, 정보격차해소 기대효과 등을 종합평가했다고 밝혔다.
○ 스마트서울 네트워크 자문위원회는 학계, 법률가, 연구기관 등 전문가 총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스마트서울 네트워크 구축사업의 통합적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시는 자치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공공 와이파이 유지관리를 위한 역할분담을 명확히 할 예정이다. 또한, 공공 와이파이(WiFi) 통합관리센터를 구축하여 현재 제각각인 공공WiFi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공공 와이파이 사용 편의성 제고와 품질 보장, 보안성 강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 특히 이번 1차사업에는 지난 5월 18일부터 21일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진행된 와이파이6 장비 성능평가(BMT: Benchmark Test, 이하 BMT)를 통해 검증된 장비들을 도입하여 고품질의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최신 기술 와이파이6 도입으로 공공 와이파이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 와이파이6는 4G LTE(1.2Gbps)와 GIGA WiFi(1.3Gbps)보다 4배 빠르고, 기존 WiFi5보다 보안성이 한층 강화된 WPA3 보안기술을 지원하여 해킹·도청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최신 와이파이 기술이다. 공공와이파이6가 도입되면 서울시민·방문 관광객들은 전파간섭이 심한 서울 도심 밀집지역에서도 빠른 속도로 데이터 이용이 가능하고 보안성 측면에서 한층 업그레이드된 공공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디지털 사회의 기반이 될 스마트도시 인프라를 조기에 조성하기 위해 3차 추가경정예산으로 491억원을 편성하여 당초 3년→2년으로 사업 일정을 당겨 올해 하반기 15개 2차 사업대상 자치구를 추가 선정하고, 내년까지 서울 공공생활권 전역에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1차 사업을 통해 자치구 간 디지털격차 및 강남·북 불균형 해소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특히 선정된 자치구들의 추진 의지가 강한 만큼 시·구 공동 협력을 통해 시민 통신기본권 전면 보장을 위한 S-Net 구축의 마중물 사업으로서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 라고 말했다.

담당부서 스마트도시정책관 - 정보통신보안담당관(
https://news.seoul.go.kr/gov/archives/513437)
  • 문의 2133-1352

총2명 참여
2020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 시민 창작시 공모

2020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 시민 창작시 공모

시민창작시
응모분야
시민 창작시 
응모기간
2020-06-15 ~ 2020-07-08 
조회수
840 
응모대상
누구나 
결과발표
2020.08.31 예정 
주최
서울특별시 문화예술과 (http://mediahub.seoul.go.kr/gongmo/1284507)
문의
070-7566-9993 
홈페이지
http://www.subwaypoem.kr
첨부파일
★공고문 : http://★공고문  

총2명 참여
옛 난지도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옛 난지도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무제-1-01
응모분야
시청각(사진,영상)자료 및 문서자료 
응모기간
2020-06-05 ~ 2020-07-17 
조회수
113 
응모대상
1900년~1985년 난지도 관련 자료  
결과발표
2020.08.5  
주최
서울특별시 서부공원녹지사업소(http://mediahub.seoul.go.kr/gongmo/1283589)
문의
공원여가과 02-300-5542 / 조경하다 열음 070-7708-4877 
홈페이지
http://parks.seoul.go.kr/main.do
첨부파일
공모개요_옛난지도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신청서_옛난지도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총2명 참여
서울시, 반려견 광견병 예방접종 실시… 내장형 동물등록 선착순 지원

□ 서울시는 반려동물의 동물등록을 활성화하고 광견병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내장형 동물등록’과 ‘광견병 예방접종’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반려견의 광견병 예방접종은 동물등록된 경우에만 선착순 지원한다.
 
□ 광견병은 동물을 통해 사람도 감염될 수 있는 만큼 3개월령 이상의 개·고양이를 기르는 가정은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줘야 한다. 시는 시민과 반려견의 안전을 위해 15~30일 백신을 무료로 공급해 ‘광견병 예방접종’을 시행한다. 시민들은 거주지에서 가까운 지정 동물병원을 방문해 시술료 5천원을 지불하면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 지정 동물병원은 관할 자치구 또는 120다산콜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으며, 자치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더불어 반려견 유실·유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내장형 동물등록’도 4만두에 선착순 지원한다. 원하는 시민은 신분증을 지참하고 반려견과 함께 참여 동물병원을 방문해 1만원을 내면 내장형 동물등록을 할 수 있다. 참여 동물병원 등 문의사항은 (사)서울시수의사회 콜센터(☎070-8633-2882)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 내장형 동물등록은 서울시, 손해보험사회공헌협의회, (사)서울시수의사회가 추진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서울시민이 기르는 모든 반려견이며 올 연말까지 4만마리에 지원한다.
○ 내장형 마이크로칩 동물등록은 칩 삽입을 통해 등록하며, 훼손이나 분실 염려가 없어 반려동물을 잃어버릴 경우 쉽게 찾을 수 있다.
 
□ 이번 광견병 예방접종은 반려견의 경우 동물등록이 돼 있어야 가능해 아직까지 동물등록을 하지 않은 시민은 15~30일 동안 저렴한 비용으로 내장형 동물등록(1만원)과 광견병 예방접종(5천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예정이다.
○ 동물보호법 제47조에 따라 등록대상동물(2개월령 이상 반려견)을 동물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최고 100만원이하 과태료가 부과된다.
 
□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소중한 반려동물의 건강과 시민 안전을 위해 광견병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내장형 동물등록과 연계 지원해 동물등록을 활성화하고 유기동물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담당부서 시민건강국-동물보호과(
http://news.seoul.go.kr/welfare/archives/517599)

  • 문의 02-2124-2831

총4명 참여
2020년에 활동할 내친구서울 어린이기자를 모집합니다!

서울시에서는 2020년에 활동할 내친구서울 어린이기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어린이는 하단에 있는 '어린이기자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2019 “내친구서울” 어린이기자 활동 사진
  • 펭수를 만났어요
  • childreporter_02어린이기자 위촉식 행사
  • childreporter_03노들섬 취재
  • childreporter_04아리수정수센터 취재
  • childreporter_05전태일기념관 취재
  • childreporter_06FC서울 최용수감독 인터뷰

총3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