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톡플러스친구'나 '카카오톡소식채널' 등과 같은 push 알림 활용: 국민들이 관심 가질만한 이미지나 영상, 기상기후 관련 정보 및 연구성과와 행정에 대한 정보
- 국민들의 관심을 끌수 있는 흥미로운 연구 추진
- 다양한 기상현상이 발생하는 제주 날씨에 대해서 지역민들과 소통의 장 마련
- 초등학생들도 쉽게 알수있는 연구성과 홍보
- 우수한 연구성과의 동영상 제작 또는 웹페이지 게제
- 기상학을 전공하거나 관심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을 이용한 기관 방문 프로그램
- 제주도 내 있는 초,중, 고, 대학생을 위한 체험 시설이나 SNS를 통한 기상관련 퀴즈나 공모 등을 통해 이벤트를 진행
- 이메일 뉴스레터를 활용하여 인지도와 고객 신뢰도를 높임
- 기상, 기후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계층과 토론하고 소통하는 프로그램 필요. 과학원도 제주도의 축제 등에 부스 등을 설치하여 참여
- 참여형 홍보가 요즘은 가장 중요함. 아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과학원 차원의 체험학습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 매년 그 해의 스타 사업을 선정하고 언론중심의 가시적 홍보를 추진
- 과학원의 연구결과를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구ON과 같은 가시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여주면 좋겠음
- 진로, 직업체험 박람회 등 참가하여 국립기상과학원 홍보
-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현장체험학습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참여프로그램을 운영
- 과학원 내 진행되는 홍보와 더불어 "찾아가는 기상과학교실" 등과 같은 주제로 초중고 학교나 단체에 찾아가서 기상과학에 대한 강의나 교육 등을 진행
- 전세계에서 기상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된 이론을 알기 쉽게(교육적인 목적으로. 대상은 초/중학생 정도가 좋을듯) 제공
-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업무에 지장이있지 않는 선에서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
- 국립기상과학원의 주요 연구성과들을 쉽게 풀이하여 인터넷 포털 사이트 메인에 올리도록 함
- 3차원 지구온과 같은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상에 대한 흥미 유발 필요
- 국립기상과학원을 어린이들이 방문해서 귀중한 기상과학을 배워갈 수 있는 있는 곳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