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진 기술에 대한 선택과 집중 추진, 그리고 연구인력 지원방안의 마련
- 최근 발생하는 극한 기상현상들의 메커니즘에 대한 철저 분석 및 미래 예측 필요
- 연구 뿐만이 아니라 국립기상과학원 직원으로써 환경 보존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조그마한 실천, 행동을 홍보하여 친숙한 이미지를 보여줌
- 지역별로 입는 기상재해의 종류가 다르므로 지역에 맞는 연구와 조사가 필요
- 소속기관 주변의 지역주민과 애로사항 및 소통을 통해 작은것 부터 시작
- 실생활 직접적인 영향이 큰 극한기상기후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여 국민 체감도 상승
- 홈페이지 등에 연구 수요조사 창구를 마련하여 국민으로부터 연구수요를 받는 것도 필요
-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더욱 필요하며, 기상예보관, 기상연구관, 학계전문가 등 공동 연구가 필요
-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나아가기 위해 기관 내 포닥과 같은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음. 전 세계의 신진연구자를 수용함.
- 오프라인 홍보물에도 보다 관심을 가지면 좋겠음
- 일반인이나 학생들과 함께 토론할 수 있는 행사를 통해 저변을 확대하는 프로그램 개발
- 자율성을 가지고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추진
- 제주 서귀포에서만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즐거움들을 공유(부동산, 맛집, 레저 등)
- 국민들이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국민참여연구란 같은 것을 만들고 조금은 비과학적인 연구내용/방법도 함께 공유
- 영향예보로의 전환에 필수적인 사회현상 데이터와의 융합을 위해 외부기관/학계 등과 협력
- 과학원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일반인들은 잘 인식 못하는 정보, 서비스들에 대해 알리는 노력 필요
-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팜플렛, 안내책자를 만들었으면 좋겠음
- 연구하기 좋은 환경 조성과 대학과의 연계가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