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22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다문화가족 농촌 정착지원방안'을 주제로 '국민생각함'을 통하여 의견수렴 및 투표한 결과, 기존 시행 다문화 정책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얹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정책개선에 관한 의견이 많았습니다.

농식품부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기초농업교육, 일대일 맞춤형 교육 및 다문화가족 정착지원 과정을 농협을 통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에 대하여 현장 의견 반영, 연구용역을 통한 프로그램 개선 등을 통해 좀더 내실있는 교육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여가부와 협업하여,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한글, 생활교육 등을 확대하고, 농촌축제 지원대상 선정시 다문화가족 참여 정도를 평가하여 가점을 부여하는 등 지역 활동에 결혼이민여성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감사합니다.

0/1000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실시와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주세요!!

"여성농업인 실태조사"는 여성농업인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여성농어업인 육성법에 근거하여 5년 마다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정과제인 "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산어촌 조성" 이행을 위해 귀농·귀촌, 청년 여성, 다문화, 고령 여성 등 다양한 세대와 주체를 위한 맞춤형 정책수립이 필요한바, 우리 부는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를 실시하여, 현장 여성농업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향후 여성농업인 육성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다양한 정책으로 발전시키고자 국민 여러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였습니다.


의견 수렴 결과,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귀촌 및 귀농 여성 인과 계속 거주하고 있는 여성농업인에 대한 실태조사가 구별되어야 한다는 의견,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건강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 여성들의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및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4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정신 건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현재 농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성농업인 실태조사와 관련하여 세대별 및 다양한 주체별 여성에 대한 실태조사를 계획하고 있고 이러한 사항에는 귀농·귀촌 여성농업인 및 고령 여성농업인에 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무료건강검진을 추진하기 위한 연구용역도 별도 추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의견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러한 의견에 대하여 더욱 발전시키거나 추가 의견이 있으시면 국민 여러분께서는 댓글로 구체적인 실태조사 개선 아이디어를 개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총4명 참여
다문화 가족의 농촌정착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에 대한 조언 및 참신한 정책 아이디어 투표

농촌에서 다문화 가족은 저출산·고령화된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주고 있으나,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족간 갈등, 지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문제, 자녀 교육문제 등으로 농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다문화 가족이 농촌에서 소속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국민생각함”을 활용하여

 <다문화 가족 농촌정착 지원방안> 이라는 주제로 농촌 다문화 수용성 제고 방안, 다문화 자녀 지원 방안, 후계 농업 인력으로의 육성 방안 등 국민들의 다양하고 참신한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의견 수렴 결과,


첫째 기본적으로 다문화 가정의 정착을 위해서는 사회의 인식 변화, 언어와 문화의 차이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새로운 정책을 찾기 보다는 기존의 정책 프로그램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얹어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개선을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고,


둘째 다문화 가족이 지역사회에 융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가족과 지역주민이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서로의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만들어 가자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셋째 다문화 가족이 우리사회에 좀 더 친숙하게 적응하여 생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하여 서로의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 및 분위기 조성에 대한 의견을 주셨고,


넷째 이주여성이 속한 가족과 사회커뮤니티에서 스스로를 높이고 주체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에 이상의 의견을 종합하여, 향후 다문화 가족 농촌정착지원 추진방향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는 투표에 응해주시고 댓글로 선택하신 다문화 정책방향에 따른 구체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개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총14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