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16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우리 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 대체 방안은?

2-1. 생각의 탄생(대화) : 2017.7.24~8.13(3주간) ▶ 종료

2-2. 생각의 발전(투표) : 2017.8.16~8.27~9.3(1주 연장, 총 3주간) ▶ 종료

2-3) 생각의 완성(마무리) : ‘17.9.4~9.10(1주간)

○ 생각의 발전 결과에 따라 대체방안 정책 우선순위 결정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1차 생각의 탄생(대화)과 2차의 발전(투표)를 통해 “우리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의 대체 방안”에 대해 많은 분들이 소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 2차 생각의 발전에서 투표해 주신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기존 초·중·고등학생 대상의 동물생체해부 실험을 대체하기에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되는 의견은 시뮬레이션 > 동물모형(인공해부표본) > 영상물 > 책(그림) 순 이었습니다.

다양한 의견을 주신 국민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해당 의견을 바탕으로 우리 아이들의 교육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향후 정책을 계획하고 시행할 것을 약속드리겠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0/1000
우리 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 대체 방안은?

1. 제목

우리 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 대체 방안은? 

2-1) 생각의 탄생(대화) : 2017.7.24~8.13(3주간) ▶ 종료

2-2) 생각의 발전(투표) : 2017.8.16~8.27~9.3(1주 연장, 총 3주간)
○ 생각의 탄생을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투표형태로 노출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1차 생각의 발전을 통해 “우리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의 대체 방안”에 대해
많은 분들이 소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다양한 의견들 중 많은 분들이 전달 주신 내용을 총 4가지로 요약하여,
동물생체해부 교육의 대체 방안에 대해 다시 한 번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영상물 : 국내·외 시청각 자료를 활용(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영상)

○ 동물모형(인공해부표본) : 동물의 내·외부를 관찰할 수 있는 모형 구조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 컴퓨터 프로그램, 웹상 플래시 영상으로 체험

○ 책(그림) : 초등학생은 만화, 중고등학생은 전문서적 내 실물 그림 등


이 중 기존 초·중·고등학생 대상의 동물생체해부 실험을 대체하기에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되는 하나의 의견에 투표
를 해주세요!


그 외에 기타 의견 및 추가 의견이 있을 시에는 댓글로 작성 부탁드리겠습니다.


2-3) 생각의 완성(마무리) : ‘17.9.4~9.10(1주간)

○ 생각의 발전 결과에 따라 대체방안 정책 우선순위 결정

총29명 참여
우리 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 대체 방안은?

1. 제목
우리 아이들(초·중·고등학생)의 동물생체해부 교육, 대체 방안은? (~9.3)


2-1) 생각의 탄생(대화) : '17.7.24~8.13(3주간)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학창시절, 교내에서 개구리·붕어 등 살아있는 동물의 생체해부실험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살아있는 생물의 구조를 직접 봄으로써 과학적 호기심을 충족한 기억과 생체실험에 대한 두려움의 기억, 어떤 것이 떠오르십니까?


#. 추진 배경
ㅇ 2009년 동물생체해부 실험이 ‘생명존중교육에 위배 된다’는 지적에 따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제외되었으나, 생물·과학 등의 과목에서 부분적으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이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과학고를 포함한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소 눈알, 닭 해부 등을 교사 지도하에 진행
- 교과과정에도 없는 동물실습이 학습동아리 형태로 담당교사 지도하에 진행
- 영재학원 등 사설 교육기관에서도 동물실습이 다양하게 진행


#. 문제점
ㅇ 이러한 실습의 진행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또는 지침이 없기 때문에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ㅇ 또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동물해부실습이 미성년자에게는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으며, 생명 존중에 반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이에 세계적으로 미성년자 대상의 동물해부실습에 대해 법으로 금지하는 국가(스위스·노르웨이·네덜란드·덴마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동물보호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제출되었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이에 기존 초·중·고등학생 대상의 동물생체해부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영상물·모형·팝업북 교재 등)에 대해서 국민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다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 의견을 주실 시, 하단 [참여하기] 버튼을 클릭한 후 참여 부탁 드리겠습니다.

2-2) 생각의 발전(투표) : '17.8.14~8.27(2주간)
ㅇ 생각의 탄생을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투표형태로 노출


2-3) 생각의 완성(마무리) : '17.8.28~9.3(1주간)
ㅇ 생각의 발전 결과에 따라 대체방안 정책 우선순위 결정

총54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