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14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저수지 방조제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지진대응 방안 마련

동 내용을 중심으로 지진재난 조치 매뉴얼을 개정하고, 내진 업무에 반영하여 추진하겠습니다. 

0/1000
저수지, 방조제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지진 대응 설문조사

□ '16.9.12. 경주지진 발생 이후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방지 등을 위한 체계적 대응시스템 구축 필요 
 o 하지만, 농업용 저수지와 방조제는 일정규모 이상 시설만을 대상으로 저수지 '82년, 방조제 '91년부터 내진설계 도입 추진중
 * 농업용 저수지 17,401개소 중 601개소(3.4%), 바닷물을 가로 막아 국토를 보호하는 방조제 1,591개소 중 110개소(6.9%)만 내진대상에 해당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지진발생 시 저수지, 방조제, 양수장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의 피해예방 등을 위한 체계적 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해 다음사항에 대하여 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하나, 내진 대상시설의 종류 및 시설 규모의 확대 필요성이 있는지, 있다면 구체적 내용은?

 * (참고) 현재 농업용 저수지는 총저수용량 50만톤 이상이고 제방높이 15m 이상 저수지와 총저수용량 2,000만톤 이상 저수지, 방조제는 국가에서 설치 관리하고 있는 배수갑문 및 방조제를 내진대상으로 하고 있음

둘, 지진발생시 효과적 대응을 위한 위기 대응 매뉴얼 개정 의견

 * 붙임 매뉴얼 참고
  

셋, 농업생산기반시설 지진발생에 따른 국민생명과 국토를 보전하기 위한 다양한 국민 아이디어 

총77명 참여
저수지, 방조제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지진 대응 설문조사

□ '16.9.12. 경주지진 발생 이후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방지 등을 위한 체계적 대응시스템 구축 필요 
 o 하지만, 농업용 저수지와 방조제는 일정규모 이상 시설만을 대상으로 저수지 '82년, 방조제 '91년부터 내진설계 도입 추진중
 * 농업용 저수지 17,401개소 중 601개소(3.4%), 바닷물을 가로 막아 국토를 보호하는 방조제 1,591개소 중 110개소(6.9%)만 내진대상에 해당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지진발생 시 저수지, 방조제, 양수장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의 피해예방 등을 위한 체계적 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해 다음사항에 대하여 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하나, 내진 대상시설의 종류 및 시설 규모의 확대 필요성이 있는지, 있다면 구체적 내용은?

 * (참고) 현재 농업용 저수지는 총저수용량 50만톤 이상이고 제방높이 15m 이상 저수지와 총저수용량 2,000만톤 이상 저수지, 방조제는 국가에서 설치 관리하고 있는 배수갑문 및 방조제를 내진대상으로 하고 있음

둘, 지진발생시 효과적 대응을 위한 위기 대응 매뉴얼 개정 의견

 * 붙임 매뉴얼 참고
  

셋, 농업생산기반시설 지진발생에 따른 국민생명과 국토를 보전하기 위한 다양한 국민 아이디어 

총97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