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원예단지 구축 방안
소비자의 요구 충족 및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전체적인 시설원예산업의 육성 방향과 조화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자
"스마트원예단지 구축 방안"에 대하여 1단계(생각의 탄생) 의견수렴을 하였습니다
아래 1단계에서 제시된 생각들을 보시고,
1번, 2번 의견에 대한 구체적인 구축 방안 등 여러분의 생각을 자유롭게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단계(생각의 탄생) 제시된 생각들
1. 스마트원예단지 조성 유형의 다양화
가. 사업규모 축소 : 기반조성 후 생산시설, 배후시설 사업 추진 시 지방비, 자부담 부담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해소하여 다양한 지역의 지자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규모를 기존 20ha에서 10ha 정도로 축소
나. 일정거리 이내 여러 개소 조성하여 하나의 스마트팜 원예단지 구축 : 일정거리(5km) 안에 소규모(3~5ha) 스마트원예단지를 여러 개 조성하여 단일 스마트팜 원예단지를 구축 => 20ha 규모의 부지 확보 어려움 해소
2. 기반조성 후 생산시설 등의 사업비 확보 지원 강화
가. 스마트원예단지 입주 경영체가 생산시설 및 에너지시설 등 배후시설 조성 시 연계 가능한 정부 지원사업의 사업대상자로 우선 선정될 수 있는 방안 검토
나. 스마트원예단지 기반조성과 생산시설, 배후시설까지 모두 조성한 후 자격조건을 갖춘 입주경영체에 임대
3. 기타
- 논을 이용하는 것보다 밭, 과수원 대상으로 사업 추진 => 기시행
- 원예단지 기반조성 보다 클러스터 지정 우선
- 지역별 환경여건을 고려하여 규모 검토 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