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3년 09월 20일 시작되어 총18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과 소통하는 산림과학기술정보!!" 어떤 내용, 어떤 형태로 소통하면 좋을까요?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산림청님의 의견정리2023.11.03
많은 참여와 관심 그리고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1차 설문을 바탕으로 크게 2가지 주제를 정리하고, 각 주제별 우선순위를 여쭈어 보았는데요.

- 1번 질문의 국민참여 확대 방법과 관련해서 ❶개방형 R&D, ❷경진대회 운영, ❸함께하는 R&D의 우선순위를 응답해 주셨습니다.
- 2번 질문에서는 모두 ❶ 빠른 정보를 가장 우선순위로 두셨습니다.
- 주관식 설문조사에서는 홍보의 필요성과 타겟을 달리한 접근의 필요성을 응답해 주셨습니다.

다시한번 참여에 감사드리며, 앞으로 소통할 수 있는 산림과학 연구결과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설문결과================================
질문1. 산림과학 연구결과의 국민참여 확대에서는 총 33분이 응답해 주셨습니다.
- 1순위_[개방형 R&D] 투표 및 토론을 통한 R&D 의사결정 과정 참여 36.4%
- 2순위_[경진대회 운영] 연구데이터 아이디어 공모전 또는 경진대회 운영 33.3%
- 3순위_[함께하는 R&D] 크라우드소싱 등을 통한 국민과 함께하는 산림과학연구 30.3%


질문2. 수요자 중심의 산림과학 연구결과(논문, 보고서, 학술발표 등) 제공에서는 총 12분이 응답해 주셨습니다.
- 1순위_[빠른 정보] 산림과학연구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체계 구축 100%
- 2순위_[정확한 정보]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정보 (시각화, 인포그래픽 활용, 챗봇질의) 0%
- 3순위_[쉬운접근] 관련 정보를 한곳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 0%

질문3. 자유기입 설명에서는 "홍보의 필요성"과 "타겟을 달리한 접근"
- [홍보] 1. SNS 활용 필요
- [홍보] 2. 산림과학 성과 홍보, 찾는 방법 안내 부족
- [타겟을 달리한 접근] 1. 쉽고 친숙한 정보 전달(연예인 초대, 유튜브/인스타그램/카드뉴스 활용)
- [타겟을 달리한 접근] 2. 정확한 정보 전달 (전문가 콘텐츠 운영, Rawdata 기관 연계 체계 구축)





ㅇ 숲과 과학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ㅇ 현재는 책자, 데이터 등의 형태로 연구결과를 제공(다운로드) 하고 있는데요.  
ㅇ 앞으로는 산림과학기술정보를 국민과 소통하기 위해 쉽고,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지난번 안건에서는 크게 2가지의 형태로 산림과학정보의 소통방법에 대해 응답을 주셨습니다.

1. 국민 참여기회 확대 (연구데이터 공모전 등을 활용)
2. 수요자 중심 산림과학기술정보 제공 (SNS, 모바일, 영상매체 활용)

그렇다면, 각 안건에 대해 선호도에 따라 아래 제시된 항목에 우선순위를 투표해주세요. 그리고 의견도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12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필수] 국민 참여기회 확대와 관련해 어떤 부분을 우선적으로 해야 할까요?
  • 질문2. [필수] 수요자 중심 산림과학기술정보 제공과 관련해서 어려운 연구결과를 어떻게 받아볼 수 있으면 좋을까요?
  • 질문3. 자유롭게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