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02월 21일 시작되어 총1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추가 의견수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smiley

1차 의견수렴 결과 결과,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목표에 대해
전년대비 122%성장(37%), 전년대비 121%성장(34.8%), 전년대비 126%성장(28.3%) 순으로
응답되었습니다.

 
50%가 넘는 답변이 없는 관계로 1, 2순위 중 추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반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차 설문조사]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11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필수] 다음 중 2022년도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목표 값으로 가장 적합하다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