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12월 07일 시작되어 총35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내 집 안에 두고 싶은 관상어는? "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해양수산부님의 의견정리2017.12.29

관상어 품종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들을 연구에 반영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들에 감사드리며, 주신 의견들은 특히, 토종민물고기의 관상어 산업 연구에 반영하여 더 나은 기대하시는 성과들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상어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1차 설문은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습니다.



가장 선호하시는 관상어 품종

 1. 열대어(33%)

 2. 토종민물고기(28%)

 3. 비단잉어(17%)

 4. 담수새우류(11%)



관상어 품종개발이 되었으면 하는 품종

 1. 토종민물고기(48%)

 2. 담수새우류(13%)

 3. 금붕어(13%), 해수어(13%)

 4. 열대어(4%) 비단잉어(4%)


1차 설문조사시 주요
의견

우리만의 독특한 어종 개발, 수출 여건상 토종민물고기가 더 효과적,  박람회, 정서적 안정에 도움된다는 등의 홍보, 소득창출이 가능한 품종 개발 등이 있었습니다.

관상어 품종 개발을 위한 대상 품종 선정은 선호하는 품종과는 달리 우리만의 특별함을 가질 수 있는 토종민물고기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정리되었습니다.



2차 설문은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습니다.



관상어 품종개발이 되었으면 하는 품종인 토종민물고기 중 개발 품종


 1. 쉬리(32%)


 2. 각시붕어 등 납자루류(29%)


 3. 쏘가리, 꺽지(21%)

 4. 종개류(11%)

 5. 밀어  등 기타(8%)



토종민물고기 관상어 품종개발시 주요 연구


 1. 용품 개발(36%)


 2. 연중생산 기술(24%)


 3. 인공생산기술(21%)

 4. 전시 등의 홍보(17%)

 5. 기타(2%)



주요 의견

 1. 토종민물고기가 수입대체 품종으로 역활 기대

 2. 집안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다양한 용품 개발 필요

 3. 관리가 용이하고 쉽게 기를 수 있어야 할 것




관상어’(觀賞魚)란 열대어, 비단잉어, 금붕어 등 수계(水界)에 서식하는 생물 중 보고 즐기는 것을 목적으로 일정한 공간에서 사육 가능한 생물을 말하고 있습니다.

 

열대어로는 구피, 엔젤, 베타, 코리도라스, 로치, 수마트라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비단잉어도 단정, 삼색, 공작 등의 다양한 품종이 있습니다.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관상어는 약 4,000여종에 이른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 쉬리, 버들붕어와 같이 토종 민물고기의 관상가치도 높아 우리나라 민물고기도 관상어의 종류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입대체를 목적으로 관상어 품종 개발을 위해 비단잉어, 금붕어, 열대어 중 구피, 안시(플레코)를 대상으로 품종 개량 및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선호하는 품종에 대한 조사를 통해 품종개발시 선호 품종에 더욱 집중적인 연구를 투자하고, 추후 품종 선정시 추가하여 개발하고자 합니다.

 

가장 선호하시는 품종과 품종개발이 되었으면 하는 품종을 선택하여 주시면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30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토종 민물고기를 관상어로 개발한다면 어떤 어종을 개발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질문2. [필수] 토종민물고기를 관상어로 키우신다면 함께 연구 도는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