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3일 서민금융총괄기구인 서민금융진흥원이 설립되었습니다.
진흥원 설립을 통해 각 기관에 산재해 있는 서민자금 지원 기능을 통할하고 서민금융 관련 상담·취업·교육 기능을 일원화·강화하고,
서민금융 네트워크 전국망 구축(33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을 통해 현장에서 원스톱·맞춤형 종합 서비스 제공할 예정입니다.
진흥원 설립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이 달라지게 됩니다.
기관별로 단편적 상품 안내 ➡ 원스톱 종합상담 지원
ㅇ(기존) 각 기관의 자사상품 위주 상담으로 지원까지 연결이 어려움
ㅇ(개선)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연내 33개소 구축)를 통해 진흥원, 신복위, 캠코 등 유관기관이 서민금융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제공
- 채무조정 및 정책자금지원 정보 뿐만 아니라 민간 서민금융상품 정보 등도 한 번에 제공하여 서민 선택폭 확대
- 지자체, 고용·복지+센터 등과 연계를 강화하여 금융지원과 취업지원, 복지서비스 안내를 결합한 종합상담 제공
- 현장 방문이 어려운 서민에 대해서는 통합콜센터 운영(1397), 찾아가는 상담서비스(전통시장, 임대아파트 등) 등으로 보완
공급자 중심 지원 ➡ 수요자 중심 맞춤형 서민금융 지원
ㅇ(기존) 서민금융 상품명은 다양*하나 지원대상이 중복되고 한정적
* 미소금융, 햇살론, 바꿔드림론, 새희망홀씨
ㅇ(개선) 이용자별 이력관리·수요분석을 통한 기존상품간의 비교평가, 신상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서민금융 종합DB 구축 추진
- 수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대상자 특성에 따라 지원요건 등을 차등화*하는 방안도 중장기적으로 검토
* 例) 성실상환자에 대한 지원한도 확대 등
단기적인 재원ㆍ조직 운영 ➡ 지속가능한 서민금융 지원
ㅇ(기존) 각 기관이 개별 재원·조직을 중장기적인 계획없이 운영
ㅇ(개선) 진흥원에서 기관별로 흩어진 서민금융 재원 등을 통합관리하여 자금운용의 효율성 및 서민지원의 영속성 확보
- 각 재원의 용도가 중복되지 않도록 구분하되, 필요시 재원간 차입 등을 통해 지속가능성 제고
- 미소금융·햇살론 등 서민금융 기능별 중복 인력·조직을 재편하여 취약했던 홍보·전산·조사 기능 강화